트럼프 지시 공개 이후 BTC 가격 '급등'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전략적으로 비축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미국의 암호화폐 비축은 바이든 행정부의 수년간에 걸친 부패한 공격 이후 위기에 빠진 이 산업을 상승시킬 것”이라며 “BTC와 ETH, 다른 중요한 자산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리플의 XRP, 솔라나의 SOL, 카르다노의 ADA 등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나는 미국을 전 세계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 것임을 분명히 한다”며 “우리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있다”고 글을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올린 글에서 “분명히 BTC과 ETH이 다른 가치 있는 가상자산들처럼 비축의 중심에 있을 것”이라며 “나는 또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사랑한다”고 밝혔다.
암호화폐를 전략적으로 비축하는 것은 미국 정부가 범죄자들로부터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거나, 정부 예산으로 구매해 일정 수준을 확보하는 개념이다. 유사시를 대비해 석유를 비축하는 것과 비슷하다.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비축을 통해 수익을 얻게 되면 현재 36조달러(약 5경2600조원)에 달하는 미국의 국가부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향후 세계 경제가 가상자산으로 운영될 경우 미국의 경제적 우위를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정부는 현재 시장 가격 기준으로 약 180억달러(약 26조3200억원)에 해당하는 18만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며 “정부는 사이버 범죄 피해자들에게 보상하고 기관 운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해 왔다”고 보도했다.
트럼프의 지시가 공개된 이후 BTC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9% 상승한 9만3000달러(약 1억3600만원)를 기록하는 등 급등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첫 집권 당시 가상자산에 대해 “범죄로 가득 찬 사기”라고 비판하는 등 부정적 입장을 보였지만, 재선 도전에 나선 이후에는 우호적인 태도로 바뀌었다.
그는 작년 7월 ‘비트코인 2024 콘퍼런스’ 연설에서 관련 산업 육성을 약속했고, 뒤이어 9월 온라인 대담에서는 “미국이 가상자산 비즈니스를 하지 않으면 중국이 하고 다른 나라가 할 것”이라며 관련 산업 육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