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이유는 다양...손실 시 수용하며 시장 적응 노력
“암호화폐가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쓰이는 상품 되도록 해야”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자산 가치나 유통에 관한 정보 부족에 시달리고 시장 주체에 대한 불신 속에 거래를 계속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그러나 암호화폐 투자 이유는 금융투자 공부나 노후 대비 등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소비자학과 최현자 교수팀은 28일 국내 암호화폐 투자자들을 면담한 결과를 정리한 논문을 ‘소비자학연구’ 최신호에 게재했다.
암호화폐는 법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친코인’ 성향인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등장으로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투자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양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서 운영되는 활성 계좌는 모두 770만 개에 달하며, 이 계좌들의 평균 보유액은 893만원으로 집계됐다.
최현자 교수팀은 300만원 이상 투자한 경험이 있는 시민 28명을 연령·성별·직업 등에 따라 선별한 뒤 ▲투자 정보를 얻는 방법 ▲시장에 대한 인식 ▲거래를 시작한 이유 ▲투자 후의 변화 여부 등을 심층 조사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암호화폐의 발행 배경이나 시세 등에 관해 정보가 일방적으로 부족한 ‘정보 비대칭’ 문제를 많이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중에 유통되는 정보도 사기를 노린 엉터리가 많고 극히 소수만 열람할 수 있는 내용이 적지 않아 ‘정보 탐색이나 분석을 할 필요가 없다’는 반응까지 나왔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 때문에 백서 등 공식 정보보다는 ‘알음알음’ 찾아낸 인적 네트워크에서 얻는 단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정보를 추천하는 주체가 나를 속일 가능성이 있는가’를 자문하고 그럴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되면 이를 따르는 게 그나마 최선이라는 뜻이다.
암호화폐 발행자와 거래소 등에 대한 신뢰도도 매우 낮았다.
‘탈중앙화’를 내세우는 암호화폐 특성상 시장을 감독하는 주체가 없고, 과거 시세조작이나 허위·부실 백서 등의 사고가 잇따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투자를 시작한 사유는 타 금융투자 상품처럼 다양했다. ▲여윳돈으로 집안에 도움이 되고 싶었다 ▲노후 대비 수단 ▲부자 옆에서 기회를 노리고 싶었다 ▲돈 공부를 해보고 싶었다 등 여러 가지 답변이 확인됐다.
다만 연구진은 면담 답변자들은 대체로 투자대상(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위험을 분산하지 않고 ‘오를 것 같은 코인’에 몰아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투자자들 사이에 변동성과 속도를 중시하는 성향이 대세로 굳어졌고, 정보 비대칭성 때문에 포트폴리오 후보 탐색이 어려운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투자 손실이 나면 자책하기보단 이를 ▲예방주사 ▲초연함을 배우는 계기 ▲성장통 등으로 수용하며 시장에 적응하려는 모습이 많았다.
연구팀은 “이들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성공과 실패를 거듭하며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변동성이 크다고 접근을 배제하기보단 소비자의 권리 보장 방안을 고려해 암호화폐가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쓰이는 상품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