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체 참여 범위·운영 방식 조율 필요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한 여야정 국정협의체가 곧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20일 국회에서 “민생과 안보 협의를 위한 여야정 국정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햇다”며 “멤버 구성과 관련해 우원식 국회의장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우 의장은 지난 15일 국회를 방문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접견한 자리에서 “국회와 정부의 국정협의체를 구성하고 조속히 가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대한민국 정상화가 시급하다”며 국회와 정부가 함께하는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권 대표 권한대행은 “민주당이 제안한 것이 아니라 국회의장이 제안한 것을 수용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협의체가 가동되더라도 여당이라는 정치적 입지를 놓치지 않겠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 역시 국정안정협의체 동참을 촉구했던 만큼 조만간 협의체 구성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협의체 참여 범위와 운영 방식은 조율이 필요하다.
우 의장 측은 양당 대표를 중심으로 대화의 물꼬를 트고 협의체의 얼개를 잡은 뒤 원내대표들이 구체적인 정책·입법 관련 후속 논의를 이어가는 형태를 우선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에서는 양당 원내대표만 참여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여당의 협의체 참여 의사를 수용한다면서도 과정과 결과를 두고 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권 권한대행은 이날 “국회의장이 추진하는 국회의원 해외 파견단에 국민의힘도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전날 외신 기자회견에서 “대외 신인도를 제고하고 세계 질서의 전환기에 외교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초당적인 의원 특사단 파견을 비롯해 여러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