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심평원, 2주기 1차 대장암·위암·폐암 평가결과 공개
3개 암 모두 남성 더 많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경./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경./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대장암·위암·폐암 등 3개 암 모두 수술 단독 치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2주기 1차(2022년) 대장암·위암·폐암 적정성 평가결과를 심사평가원 누리집 및 이동통신 앱(건강e음)을 통해 20일 공개했다.

암은 국내 사망률 1위의 사회적 관심이 높은 질환으로 심평원은 의·약학의 발전과 암 수술 후 생존자 증가 등 의료 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가운데 암 치료와 관련된 국민의 필요를 반영하여 환자중심·치료성과 중심으로 개편한 2주기 암 적정성 평가를 2022년부터 진행했다. 

평가지표는 3개 암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공통지표와 암 종별 ▲특이지표로 구성됐으며 최초로 말기 암 환자의 존엄한 임종과 관련된 사망 전 호스피스 상담과 중환자실 이용 및 항암화학요법 시행 현황을 모니터링 했다.

이에 따르면 성별로는 3개 암 모두 여성보다 남성이 많았고 연령별로는 61~70세가 가장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3개 암 모두 서울, 경기권, 경상권 순으로 많았다.

암 치료방법별로는 3개 암 모두 수술 단독 치료가 가장 많았고 암 병기별로는 대장암은 3기, 위암은 1기가 가장 많았으며 폐암 중 비소세포폐암은 1기, 소세포폐암은 제한 병기가 가장 많았다.

평가결과, 종합점수는 대장암 85.68점, 위암 89.41점, 폐암 91.09점이며 상급종합병원이 다른 종별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1등급 기관 비율은, 대장암은 56.4%, 위암은 74.0%, 폐암은 80.7%이고, 지역별로는 대장암, 위암은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하나 제주에는 폐암 1등급 기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3개 암에 모두 적용하는 공통지표의 주요 결과로 먼저 구조영역의 경우 암 치료대응력을 보는 ‘전문인력 구성여부’가 이전 평가에 이어 보완·유지한 지표로서 3개 암 모두 이전 평가 대비 향상됐다. 

과정영역 중 ‘암 환자 대상 다학제 진료 비율’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 개별 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방법을 제시하도록 도입한 지표로서 대장암 27.3%, 위암 22.5%, 폐암 30.8%로 나타났다. 이 지표는 첫 평가임을 감안하여 암종별 목표치를 제시했고 목표치 달성률은 대장암 57.9%, 위암 70.2%, 폐암 81.1%이다.

‘암 확진 후 30일 이내 수술 받은 환자 비율’은 암 진단 후 조기 수술을 통해 치료성과를 높이기 위해 도입한 지표로 대장암 91.3%, 위암 84.0%, 폐암 93.2%이고, 종별로는 대장암·위암은 병원이, 폐암은 종합병원이 높았다. ‘수술 환자 중 중증 환자 비율’은 중증 환자가 많은 기관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한 지표로 대장암 42.0%, 위암 44.8%, 폐암 27.0%였다.

‘암 환자 교육·상담 실시율’ 은 암 환자 및 가족이 질환과 치료과정을 이해하여 합병증 예방 등 자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입한 지표로, 대장암 92.6%, 위암 96.0%, 폐암 94.0%이며, 3개 암 모두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 영역에서 암 치료성과를 반영하는 ‘수술 사망률’은 대장암·위암은 1주기부터 평가했으나 폐암은 이번에 처음 도입하여 수술 후 90일 이내 사망률을 평가했다. 그 결과 대장암 2.26%, 위암 1.52%, 폐암 1.19%이며 종별로는 3개 암 모두 종합병원의 수술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수술 후 퇴원 30일 이내 재입원율’은 수술 후 적절한 합병증 관리로 치료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한 지표로서 대장암 3.60%, 위암 3.32%, 폐암 2.26%이고 대장암은 상급종합병원이, 위암·폐암은 종합병원이 높았다. ‘국소 림프절 절제 및 검사율’ 등 암 종별 특이지표는 1주기부터 평가하던 지표로서, 모든 지표가 90점 이상의 높은 결과를 유지했다.

강중구 심평원장은 “이번 평가는, 말기 암 환자를 포함한 암 치료 전 과정에 대한 환자중심·치료성과 중심의 첫 평가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질 향상 지원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각계 전문가와 의료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용하여 지표를 정교화 하는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전했다. 

김동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