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뿌리연대 "韓 정부, 생산 감축 포함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 앞장서야"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한국의 1차 플라스틱 폴리머 설비 생산 능력이 일본과 대만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로 인한 탄소 배출량 또한 3개 시장 중 최대 규모로 유발될수 있다는 지적이다.
19일 플뿌리연대는 '한국정부, 플라스틱 공급과잉 문제 제기 및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 지지 촉구 기자회견'에서 석유화학업계의 플라스틱 공급 과잉 문제를 지적하고, 한국 정부에게 플라스틱 생산량 감축 목표를 포함한 구속력 있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 성안에 앞장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다니엘 리드 그린피스 기후 에너지 캠페이너는 '석유화학 업계 플라스틱 공급 과잉 조사'를 발표하고 석유화학 업계가 플라스틱 오염과 탄소 배출을 심화시키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일본, 대만의 주요 1차 플라스틱 폴리머 생산능력은 연간 4199만메트릭톤(CO₂e)에 달하며, 이로 인한 탄소 배출량은 9993만톤에 달한다. 그 결과 3개 시장 중 한국은 생산 능력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연간 1992만톤의 1차 플라스틱 폴리머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탄소 배출량은 4955만 메트릭톤으로, 일본과 대만의 배출량을 합한 수치와 비슷한 수준이다.
아비게일 아길라르 그린피스 캠페인 스페셜리스트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 협상회의에서 석유화학 업계 로비스트 참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이는 협약의 본래 목표에서 벗어나게 하고 회의의 진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이번 회의에서 진정한 리더십을 발휘해 플라스틱 생산 감축을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정 산업의 이익보다 인류와 지구를 우선시하여 역사적인 발걸음을 내딛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는 25일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지난 2022년부터 지금까지 네 차례의 협상회의를 진행한 바 있다. '생산 자체를 줄이자'는 주장과 '재활용 포함 폐기물 처리에 중점을 두자’는 주장이 대립하며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