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금융 공여국 확대 관한 의견 충돌 G20에서도 이어져
“기후금융 합의 도출해 국제사회에 강력하고 분명한 메시지 내야”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국제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협의체로 출범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18~19일(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현대미술관에 마련된 특별 행사장에서 개최된다. 정상들은 이 자리에서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협의 중인 기후금융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유엔은 이번 회의에서 기후금융에 대한 합의가 도출돼 국제사회에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분명하고 강력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이터통신은 17일(현지시간) G20 정상회의에서 빈곤과 기아 문제부터 국제기구 개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갈등 등 글로벌 분쟁, 기후금융 등 여러 주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G20 정상회의 공식 주제는 ‘정의로운 세계와 지속 가능한 지구 구축’이다. 브라질 정부는 사회적 포용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논의를 비롯해 ‘기아와 글로벌 빈곤 퇴치 글로벌 동맹 결성을 위한 별도 세션 등 일정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세계무역기구(WTO) 등 주요 국제기구 현대화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거버넌스 개혁도 이번 정상회의 의제 중 하나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 및 중동 갈등 등 글로벌 분쟁과 관련해 평화 촉구 메시지를 공동 선언문에 담기 위한 막판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고 브라질 현지 매체 G1이 보도했다.
이와 함께 COP29에서 논의 중인 새 기후금융에 대해서도 다룰 예정이다. G20 정상회의 준비 작업을 총괄하는 셰르파 회의 브라질 대표인 마우리시우 리리우 브라질 외교부 차관은 지난 9일 브리핑에서 “전례 없는 기후 위기 속에서 에너지 전환 문제 역시 이번 G20 회의 핵심 주제 중 하나”라며 “탄소 배출에 책임이 있는 G20 국가들은 더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세계 경제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앞서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린 COP29에서 지구온난화 대처를 위해 수천억 달러를 동원하자는 목표에 합의해야 한다는 과제를 다뤘지만, 지갑을 열지 말지에 대한 결정권은 리우에 모이는 지도자들 손에 달렸다고 전했다.
현재 COP29에서는 당사국들의 기후행동 의욕 촉진을 위한 이행기반 조성에 힘쓰고 있다. 기후행동은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활동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2025년 이후의 신규 기후재원 조성 목표(NCQG)’와 ‘파리협정 제6조 세부 이행규칙 운영화 완결’이 주요 쟁점이다.
2025년 이후 NCQG 설정과 관련해서는 재원 목표의 규모 및 범위, 공여국 범위가 주요 쟁점이다. 돈을 내야 하는 선진국과 지원을 받는 개발도상국 간 의견 간극이 어느 정도까지 좁혀질지가 관건이다.
기후재원 논의는 지난 2010년 열리 COP16부터 시작됐다. 당시 의미 있는 감축 조치와 이행의 투명성 맥락에서 선진국이 개도국의 필요에 대응하고, 2020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약 139조원)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그러나 목표를 지키지 못해 2015년 열린 COP21에서 공동 목표 달성을 2025년까지 연장하고, 2025년 이전까지 연간 1000억달러(약 139조원) 이상의 신규 기후재원 조성 목표를 설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현재 기후재원 규모가 이견이 가장 크다. 선진국과 개도국이 바라보는 규모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개도국은 향후 10년 동안 수조 달러의 지원을 바라고 있다. 최대 공공재원으로는 1조달러(약 1393조원), 민간재원으로는 추가 5조달러(약 6965조원)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은 이미 기한 내 재원 도달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더 강력한 목표를 설정하려면 중국과 주요 중동 산유국 등 부유한 개도국도 공여국에 포함해 공여국의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의견 좁히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재입성으로 국제적인 기후변화 대응에도 혼란이 생기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파리협정에서 재탈퇴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당선으로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국의 지지 없이 기후변화에 대응할 자금을 얼마나 모을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리우에서 열린 G20 공동성명 논의도 같은 문제로 난항을 겪었다. 유럽 국가들은 더 많은 국가의 공여를 요구했지만, 브라질 등 개도국은 이에 반발했다고 참석한 외교관들이 로이터에 전했다.
다행히 17일(현지시간) 새벽, 협상단은 개도국의 자발적인 기후금융 공여를 인정하는 문구에 합의했으며, 이를 의무로 규정하지 않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졌다고 두 명의 외교관이 통신에 밝혔다.
세계 경제의 85%를 차지하는 G20 국가들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80%를 차지한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당연히 G20에 시선이 쏠릴 수밖에 없다”며 “지금이야말로 세계 최대 경제국이자 탄소 배출국들이 앞장서서 행동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사이먼 스틸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사무총장 역시 16일 G20 정상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G20 정상들은 개발도상국이 부채 상환 부담으로 인해 강력한 기후 대응 행동이 불가능해지지 않도록 보조금, 대출 확대 및 부채 경감을 지지해야 한다”며 “이번 정상회의에서 새 기후금융에 대한 합의를 도출해 국제사회에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강력하고 분명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들도 스틸 사무총장의 요청에 공감하며 COP29에서의 미흡한 진전과 기후변화에 대한 논점이 흐려질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위 민 비즈니스 연합(We Mean Business Coalition), 유엔 글로벌 콤팩트(UN Global Compact), 브라질 지속가능개발위원회를 포함한 단체들은 별도의 서한에서 “G20가 주도해 각국 정부가 친환경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민간 부문 투자를 이끌어낼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