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1일 LPR 인하 단행, 9월 하락분 소폭 만회...'연내 추가 인하' 고려
증권가, "부동산 침체·내수부진 장기화는 숙제...추가 유동성 필요"
중국 증권거래소. /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증권거래소. / 로이터연합뉴스.

[한스경제=박영선 기자] 중국 증시가 경기부양책과 금리 인하에 힘입어상승 전환했다. 시장은 중국 인민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움직이고 있지만, 정체된 GDP 상승률과 내수부진으로 인해 추가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전망을 내놨다. 

21일(현지시간)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0.2%가 오른 3268.11, 선전성분지수는 전장 대비 1.09%가 오른 1만470.91, 차이넥스트는 전장 대비 0.69%가 하락한 2210.34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 같은 증시 상승 흐름은 중국 인민은행이 이날 대출우대금리(LPR) 인하를 단행한 영향이다. 21일 인민은행은 LPR 1년 만기를 3.10%, 5년 만기를 3.60%로 9월 대비 각각 25bp씩 인하했다. LPR 1년물은 신용대출과 일반대출, 5년물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산출하는 기준으로,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더불어 인민은행이 연내 추가 인하를 고려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져 증시에 힘을 불어넣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달 24일 통화정책 완화와 부동산·증시를 부양하기 위해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다. △2주택 대출계약금 비중 조정 △모기지 금리 50bp인하  △지방 국유기업들의 주택 매입 대출 지원 확대 △증권과 보험 등 주식 매입을 위한 5000억 위안 규모의 대출 프로그램 도입  △자사주 매입 재대출 자금 지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증시 부양을 위한 대책도 강구 중이다. 경제통(經濟通) 등의 보도에 따르면, 22일 인민은행은 증시 활성화를 위해 유동성 공급 도구인 스와프 제도(SFISF)를 가동하고 500억위원(약 9조6000억원) 가량의 자산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SFISF는 인민은행이 증권사·자산운용사·보험사에서 주식 상장지수펀드(ETF)나 채권, CSI 300 편입 주식 등의 리스크 자산을 담보로 받고 주식 매수용으로 신용력 있고 환금성이 높은 국채와 중앙은행 어음을 제공하는 도구다. 이는 지난 18일 인민은행이 처음으로 도입했다. 

SFISF에는 증권사 20개 곳이 승인을 받은 상태다. 초기 운영 규모는 총 5000억위안(95조원)으로 상황에 따라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이 같은 경기부양책으로 중국 증시를 향한 기대감이 상승한 분위기지만, 내수부진 장기화와 GDP 성장률 정체, 부동산 시장악화에 따라 추가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올해 3분기 중국의 GDP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6%가 오르며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하지만 1분기과 2분 성장률 둔화세가 두드러진 만큼, 당초 성장률 목표치인 5%에는 도달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면서 추가 유동성 조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성장률 둔화세와 더불어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도 가계 소비 개선에 발목을 잡고 있다.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며 베이징·선전·광저우 등에는 재고 흡수기간이 과거 5년 평균치(10개월~15개월) 대비 최대 3배 가량 길어진 추세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동성 함정에 빠져 있는 중국 가계가 움직이려면 통화 부양책만으로는 부족하며, 5조에서10조위안 규모의 추가적인 재정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책당국이 금리를 내리면 가계와 기업이 부채를 차입해 투자나 소비를 하며 실물지표가 반등해야 하는데, 중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2020년 이후 60%대에 머물러 있다"면서, "이는 여유자금이 생기면 예금으로 저축하거나 모기지 대출 상환에만 몰두하기 때문이다"고 짚었다. 

최규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도 "내수 회복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나, 기업이익과 대출 수요 회복이 더디고 재고 조정도 필요해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11월 예정된 미국 대선도 중국 증시를 흔드는 요인이다. 최근 높은 지지율을 보인 트럼프 후보가 당선될 경우, 강도 높은 관세 부과 문제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트럼프는 자신이 당선될 경우, 모든 수입품에 최소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다. 특히 중국 수입품에 60% 이상의 관세를 매겨 자국 제조업에 힘을 실을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중화권 증시가 미 대선을 기점으로 소강 상태를 맞은 뒤, 부양책에 힘입어 점진적인 상승세를 시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김성은 하나증권 연구원은 "11월 미 대선 경계심과 미국 성장주 반등에 따라 투심히 흔들려 차익실현과 이탈을 유도할 수 있으나, 4분기 부양책의 누적 및 변동성 축소와 함께 중국 포지션의 개인·외인 과소비중과 수주 로테이션(수출주·배당주 과대비중)이 완만하게 재개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중화권 증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박영선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