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25년 증원, 활시위 떠나"
"의료계, 같이 계산해보자"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 /연합뉴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 /연합뉴스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2000명 증원이 오답이라면 1500명이든, 1000명이든 새로운 답을 내 달라."

대통령실 장상윤 사회수석비서관은 4일 의과대학 정원 증원과 관련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의대생 교육 공백과 관련해 조만간 정부에서 대응책을 발표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의료계는 정부 측에 2025년도 의대 증원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2026년도 감원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장 수석은 "그게 제시가 되면 원점에서 테이블에 올려놓고 같이 계산해 보자"고 답했다.

이어 "정부가 제시한 의사 인력 수급 추계위원회도 전문가들이 과반수 위원을 의료계로부터 추천받아서 아주 공정하게 정원을 계산해 볼 준비가 돼 있다는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다만 2025학년도 정원 문제에 대해선 이미 수시를 비롯해 입시가 이미 진행 중이기 때문에 사실상 활시위를 떠났다고 일축했다.

그는 "입시 절차에서 벌어지는 혼란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굉장히 큰 파장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언급하거나 검토한다는 것조차도 사실은 조심스럽다"면서 "(논의) 의제 제한을 두지 말자는 게 기본 방향이기 때문에 테이블에 놓고 의견을 이야기할 순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미 지나갔다고 보는 것"이라고 했다.

또 "되지도 않을 이야기를 의제로 올리고 생각하는 척하면서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이는 건 상대방의 불신을 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최근 전공의에게 사과한 것과 관련해 "정책을 잘못했다거나, 그 전 과정에 뭐가 문제가 있었다거나 그런 게 아니라 현재 상황이 굉장히 안타깝다는 하나의 심정을 표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서울대 의대가 의대생 '동맹 휴학'을 승인한 데 대해서는 "이렇게 집단으로 개별 사유 없이 무작정 휴학하겠다고 하는 건 휴학이 아니다"라며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는 걸 기정사실로 하는 건 교육자로서 할 일이 아니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의대생 교육 공백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학생들이 돌아오기만 하면 그동안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방안이 제시돼 있지만, 그런데도 시간이 많이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그다음 방안으로 비상적인 방안이 없을까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만간 교육 당국에서 내용을 수렴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변동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