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ATL·BYD 1·2위, LG엔솔 3위, SK온4위, 삼성SDI 6위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6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364.6GWh(기가와트시)로, 전년동기보다 22.3% 증가했다.
K배터리 3사의 배터리 사용량도 작년 상반기 대비 성장세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5.7%(46.9GWh) 성장하며 3위를 유지했고, SK온은 5.4%(17.3GWh)의 성장률을 기록해 4위에 올랐다. 6위에 오른 삼성SDI는 국내 배터리 3사 중 가장 높은 17.4%(16.4GWh)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K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전년동기 대비 3.0%p 하락한 22.1%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모델Y, 폭스바겐 ID.4, 포드 머스탱 마하-E, 제너럴모터스(GM) 캐딜락 리릭 등의 견조한 유럽 및 북미 시장 판매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판매량이 잠시 주춤했던 테슬라 모델3의 판매량이 큰 폭으로 확대되며 배터리 사용량도 크게 증가했다.
SK온은 현대차그룹 아이오닉5, EV6의 전년 동기 수준 판매량을 바탕으로 배터리 사용량 성장세를 보였다. 주력 모델인 아이오닉5와 EV6 모두 SK온의 4세대 배터리가 탑재된 페이스리프트 버전이 출시돼 향후 EV9과 함께 글로벌 판매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포드 F-150과 메르세데스 EQA/B도 견조한 판매량을 보였다.
삼성SDI는 BMW i4, i5, i7, iX, 아우디 Q8 e-트론, 지프 랭글러 PHEV는 유럽에서, 리비안 R1T·R1S는 북미에서 각각 판매 호조를 보였다.
글로벌 1, 2위는 중국 기업이 차지했다. 중국의 CATL은 전년동기 대비 29.5%(137.7GWh) 성장하며 1위 자리를 지켰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 내수 시장에서 지커와 아이토 등 주요 OME들이 CATL의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고 테슬라 모델3/Y, BMW iX, 메르세데스 EQ 시리즈, 폭스바겐 ID 시리즈 등도 CATL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 CATL은 올해 2분기 매출 870억위안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13.2%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3.4% 증가한 123.6억위안을 기록하며 사상 세 번째로 높은 수익성을 보였다.
BYD는 22.0%(57.5GWh) 성장률과 함께 2위를 기록했다. 최근 글로벌 OEM들 간의 하이브리드 기술 경쟁이 확대되는 가운데 1회 충전시 2100km 주행이 가능한 신형 하이브리드 차량을 출시하며 BEV와 플러그인 PHEV 시장을 전략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매 분기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BYD는 BEV 판매량도 테슬라를 제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SNE리서치는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에도 중국에서 이구환신(以舊換新·구형 자동차와 가전 등 소비재의 신제품 교체) 정책을 통해 전기차 내수 판매량이 계속 성장할 것”이라며 “중국 외 지역에서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용이 확대되면서 중국 배터리업체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