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삼성SDI가 성균관대학교와 배터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배터리공학과'를 신설한다.
11일 삼성SDI와 성균관대는경기도 수원시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배터리공학과 설치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유지범 성균관대 총장, 윤원섭 배터리공학과 대표 교수, 김지만 자연과학대 학장, 최윤호 삼성SDI 사장, 김윤창 SDI연구소장(부사장), 안재우 People팀장(부사장) 등 양측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배터리공학과는 채용 연계형 계약학과로 공과대학 학사 4년제 과정으로 운영된다. 성균관대는 2026년부터 10년간 매년 30명 규모의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이다. 입학생들에게는 배터리 소재부터셀, 모듈, 팩까지 맞춤교육이 제공된다. 해당 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에게는 삼성SDI에 입사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진다.
이번 배터리공학과 신설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중심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배터리 분야를 선도할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국가 핵심 전략 산업 인재 양성에 동참하기 위한 것이라고 삼성SDI 측은 설명했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우수 인재의 확보와 양성은 삼성SDI의 미래경쟁력"이라며 "성균관대와의 협약을 통해 배터리 시장을 리드할 수 있는 핵심인재를 확보해 글로벌 톱티어 회사로서 초격차 기술경쟁력을 더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유지범 성균관대학교 총장은 "이번 협약은 배터리공학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배터리 기술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는 흐름 속에서 성균관대학교와 삼성SDI는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성SDI는 2021년부터 POSTECH, 서울대, KAIST, 한양대, 성균관대, UNIST등과 배터리 우수인재 양성과정을 운영중이며 향후에 배터리 계약학과 신설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삼성SDI는 2022년부터 박사급 인재 채용을 위한 설명회인 'Tech & Career Forum(T&C 포럼)'을 개최해 우수 인재를 발굴하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 시작한 T&C 포럼은 해외 인재 확보를 위해 미국 뉴욕과 실리콘밸리, 독일 뮌헨 등으로 확대됐으며, 올해도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주요 국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관련기사
- 삼성SDI, 미국에 1조원 ESS용 배터리 공급…본격 북미 공략
- 최윤호 삼성SDI 사장 “2030년 시장 리드할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할 것”
- 삼성SDI, 더 강해진 삼성배터리박스로 글로벌 ESS시장 공략
- 배터리산업 일자리 10년새 79% 증가…“대기업 인력 흡수는 과제”
- 전기차 캐즘 “내년 하반기 개선”…LG엔솔‧삼성SDI 차세대배터리 개발 속도
- 中배터리만 올렸던 BMW 노이어 클라쎄, 삼성SDI도 추가하나
- 삼성SDI, 2분기 영업이익 37.8% 감소…전기차 수요 둔화 여파
- 삼성SDI-GM, 美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 본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