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규모나 성장 단계에 따라 맞춤형 지원방안 수립 필요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국내 배터리산업의 활황과 함께 그 규모와 범위가 커지면서 관련 일자리도 10년새 7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사업체가 영세사업체 인력을 흡수하는 블랙홀 효과도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해야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15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배터리산업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관련 기업은 2013년 377곳에서 2022년 567곳으로 50% 늘어났고 이에 따라 전체 종사자도 6만1657명에서 11만362명으로 79%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배터리 관련 기업은 1~50인 사이의 소규모 기업에 집중돼 있으나, 증가세는 100~1000인 규모의 기업에서 두드러졌다. 또 1000~5000인 기업에서도 2018년 5개에서 2022년 10개로 2배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특히 배터리산업 종사자 증가세는 100~5000인 규모의 중대형 기업에서 두드러졌다. 100~1000인, 1,000~5000인 규모의 종사자 수는 2013년 대비 2022년 각각 1000명 이상 늘며 중대형 기업을 중심으로 고용의 양적 성장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3사에서 중소·중견기업으로 이동한 피보험자는 매년 100명 안팎으로, 연령도 소폭 높아지고 있는 추세지만 중소·중견기업에서 대기업인 배터리3사로 이동한 피보험자 수는 매년 500여명 이상, 평균 연령도 낮아지고 있다.
김기덕 한국노동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은 “이 같은 결과는 배터리산업의 성장이 중소형 규모의 소부장 업체까지 낙수효과로 이어지기보다는 대기업 중심의 인력 흡수가 더 많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배터리3사에서 많은 경력직을 흡수하고 있어 중소형 규모의 소부장 업체는 상대적으로 인력난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배터리 기업들의 고용 상황은 이직이 잦고(38.7%), 성과보다 요구하는 임금수준이 높아(24.7%) 입사 후에도 '눈높이 미스매치'로 인해 노동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응답 기업들의 42.2%는 우수인력을 채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임금을 제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 기업의 51.1%는 매출액이 2021년 대비 2022년 증가했고, 이에 따라 연구개발비도 43.6%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인력 실태를 살펴보면, 배터리 기업 평균 인력 수는 65.6명으로 배터리 관련 업무는 대부분 남성(71.7%), 50세 이상 고령자(75.3%), 석·박사(94.0%)의 인력이 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고용 형태는 정규직이 97.6%, 5년 이상 재직자가 34%로 고용이 매우 안정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분포는 남성 비중이 78.2%, 연령별 분포는 34세 이하의 청년 비중이 40.1%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력 수준은 전문대를 포함해 대졸 인력이 68.4%를 차지했고 직무별로는 기술(능)직이 49.0%인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과 금융 세제혜택, 인력양성 지원을 병행한 시나리오에 따르면 향후 배터리산업의 고용자 수는 2022년 38만5798명에서 2030년 80만4717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김 초빙연구위원은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 금융과 세제지원을 통한 배터리산업 발전 전략이 전후방 연관 산업에 대한 고용유발효과를 가장 많이 증가시키는 정책으로 볼 수 있다”며 “무엇보다 기업의 규모나 성장 단계에 따라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지원방안이 다르게 수립돼야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진입 초기 기업, 중대형 기업, 선도기업별 연구개발 지원 체계가 다르게 수립하는 것이 적합하다”며 “진입 초기 기업은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산학연계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고, 중대형 기업은 기술개발 활동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촉진하는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