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정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디스플레이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무기발광 산업육성 얼라이언스’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iLED)는 발광다이오드(LED) 등 무기물 소자를 빨간색·초록색·파란색(R·G·B) 화소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수명이 길고 휘도·소비전력 등에서 장점이 많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이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국내 무기발광 산업은 LED칩 등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생태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지난 5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내년부터 8년간 4840억원이 투자될 예정인 대규모 연구개발(R&D)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과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아울러 국내 무기발광 산업 공급망 구축에 필요한 당면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무기발광 분야 연구개발인력 양성 △산·학·연 및 대·중소기업 간 긴밀한 협력 △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초기 시장수요 창출 지원 등에 정부가 지속적으로 힘을 실어줄 것을 요청하였다.
산업부는 올해 새롭게 지원을 시작한 디스플레이 특성화대학원 등을 통해 무기발광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강화하고, 산·학·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기술 교류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초기 시장 창출을 위한 디스플레이 실증사업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정부는 우리 기업이 OLED에 이어 차세대 무기발광 산업에서도 경쟁국 대비 확고한 기술 우위를 갖출 수 있도록 기술개발은 물론 세제·금융지원 및 인력양성 등 다양한 정책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에서도 적극적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기업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정연 기자 straight3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