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삼진제약이 ‘오송공장-주사제동’ 생산시설이 식약처로부터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합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송공장 주사제동은 연간 740만 액상 바이알 주사제, 400만 분말 바이알 주사제, 2300만 앰플 주사제 생산 등을 할 수 있게 됐다.
삼진제약은 지난 2021년 5월~2022년 11월 약 700억원의 예산을 투입, 오송공장 부지에 향남공장 대비 2배이상 규모의 ‘주사제동(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10,105㎡ 규모)’을 신규 준공했다.
기존 ‘API. 원료생산동(지하1층~지상 5층 5,149㎡ 규모)’은 증축하는 등 미래 신사업 개척을 위한 생산시설 확장에 나선 바 있다.
이번에 GMP승인을 받은 오송공장 주사제동 제조 시설에는 설계부터 구축에 이르기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규정 중 무균 의약품 제조 기준’과 2023년 8월 개정 시행된 유럽 의약품청(EMA)의 ‘무균 의약품 제조공정 가이드라인(EU GMP Annex1)’ 요구사항 등을 반영했다.
세부적으로 ▲독일 ‘Bausch+Ströbel'의 RABS 배리어 기술을 채택해 오염이 없는 무균 환경 조건에서 생산 가능 ▲조제와 충전 라인에는 자동 세척과 멸균이 가능한 CIP/SIP시스템 적용 ▲작업장 자동 훈증 시스템 ▲자동 포장 라인 등 공정 전반에 걸친 ‘자동화 시스템’이 설비돼 있다.
더불어 ▲제조실행시스템(MES) ▲실험실관리시스템(LIMS) ▲데이터관리시스템(RDMS) ▲자동화창고관리시스템(WMS) ▲건물자동화관리시스템(BMS) 등의 첨단 IT 시스템을 적용했다. 모든 공정을 디지털화해 데이터가 의도적으로 변조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데이터 완결성'도 확보했다.
삼진제약은 현재 향남공장에서 생산 중인 주사제를 오송공장으로의 품목 이전 허가에 나설 예정이다. 주사제 대부분이 퇴장 방지와 유일 품목이고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이를 위해 모든 역량을 발휘해 차질 없이 실행에 옮길 계획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오송공장 주사제동은 올해 말 예정된 주사제 품목 허가 이전이 완료되면 2025년을 목표로 ‘EU GMP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해외 주사제 시장 진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최용주 삼진제약 대표이사는 “삼진제약의 핵심 전략 자산 중 하나인 오송공장은 마곡연구센터와 향남공장과의 지속적인 협업으로 회사의 미래 신사업 개척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며 “향후 계획하고 있는 글로벌 인증을 통해 해외수출 판로 확보를 위한 역량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삼진제약-한국먼디파마, 붙이는 진통제 '노스판 패취' 국내 독점 판매 계약 체결
- 삼진제약-대한장애인체육회, 개발도상국 여성 장애인 선수 후원 협약 체결
- 삼진제약, 4가지 복합성분 점안제 '아이스콘 점안액' 출시
- 삼진제약, 생리 식염수 '세비안' 패키지 리뉴얼
- 삼진제약 위시헬씨, '하루엔진 마그비타 쎈' 출시…"고함량 비타민 B군 함유"
- 삼진제약 "PPL과 '산학연계 마케팅 프로젝트' 성료"
- 삼진제약 "위시헬씨, '하루효소 카무트 브랜드 밀 프로틴 크런키' 출시"
- 삼진제약 "위시헬씨, '아이 EYE 튼튼 차즈기 젤리' 출시"
- 삼진제약, 사상 최고 연매출 돌파 목전…ADC 적극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