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반도체·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확대, 첨단기술 보호‧수출통제 공조해 나가기로
한국, 미국, 일본 산업장관들이 처음으로 개최된 산업장관회의에서 공급망과 첨단산업 등에서 3국의 국익증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한국, 미국, 일본 산업장관들이 처음으로 개최된 산업장관회의에서 공급망과 첨단산업 등에서 3국의 국익증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 연합뉴스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한국, 미국, 일본 산업장관이 처음으로 개최된 산업장관회의에서 공급망과 첨단산업 등의 분야에서 3국의 국익증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지나 러몬도(Gina Raimondo) 미국 상무장관, 사이토 겐(Saito Ken) 일본 경산대신은 26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제1차 한미일 산업장관회의에 참석해 핵심·신흥 기술의 발전 촉진, 3국의 경제안보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캠프 데이비드에서의 한미일 정상 간 합의에 따른 후속조치다.

3국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반도체·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확대, 첨단기술 보호와 수출통제 공조, AI(인공지능) 등 첨단산업 기술관련 공동연구 증진과 표준 협력,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협력 등에 뜻을 함께하기로 하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3국 장관은 공동선언문에서 반도체가 3국의 경제성장과 국가안보 보장에 중요하고 광범위한 산업과 활용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회복력 있는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 3국 장관은 탄소집약도와 종합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강화에 있어 3국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에 더해 청정, 무탄소, 저탄소 수소와 청정 암모니아를 비롯한 수소화합물이 광범위한 부문의 탈탄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데에 뜻을 함께 했다.

이에 3국 장관은 청정, 무탄소, 저탄소 수소와 수소화합물의 안정적이고 회복력 있는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청정, 무탄소, 저탄소 수소와 수소화합물을 포함한 저탄소, 무탄소 에너지 배출 기술에 대해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핵심광물에 대해서는 각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희토류 분리정제, 추출 등 희토류 관련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안정적인 희토류·영구자석 공급망 구축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AI(인공지능)에 대해서는 민간부문의 책임 있는 인공지능 사용 촉진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AI 안전성을 위한 표준, 방법‧평가 수립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에 3국의 민간부문에서 AI 공동연구와 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3국 장관들은 또 기술 표준이 경제의 전략적 기술과 부문에서 상호 운용성, 경쟁력, 포용성,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데에 뜻을 같이하고 기존의 협력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국제 표준화 노력을 증진시켜 나가기로 했다. 

안덕근 장관은 “한미일 3국은 첨단기술과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최적의 협력파트너이자, 글로벌 공급망 위기를 함께 극복해 나갈 동반자”라며 “향후 한미일 산업장관회의가 3국간 산업협력을 심화·발전시키고 글로벌 리스크에 공동으로 대응해 나가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3국은 한미일 산업장관회의를 매년 개최하고 3국 장관 간 논의사항을 진전시키기 위해 향후 실무급 협력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권선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