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중·하순이 유급 마지노선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의과대학을 운영하는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 유급 예방 대책을 마련하고 대학을 지원해달라고 촉구했다.
12일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은 이날 '의대 학사 운영 정상화 및 의대 교육 선진화를 위한 대정부 건의문'을 작성해 교육부에 전달했다.
의총협은 의대생 수업 거부 장기화 사태의 종결하자는 취지에서 의대를 운영하는 대학 총장들이 결성한 단체다.
현재 의총협에는 의대 정원이 증가한 비수도권 32개 대학과 서울 지역 5개 대학 등 총 37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의총협은 학생들의 수업 복귀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총협은 "정부는 의대생의 수업 복귀, 의대 교육 정상화와 선진화에 장애가 되는 각종 제도와 정책이 있는 경우 의총협의 건의와 제안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전공의 복귀가 학생 복귀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상황을 인식하고 의대 교육 정상화와 시급성을 고려해 정부는 전공의 복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학이 기존 학사 운영의 틀에 매이지 않고 탄력적으로 수업을 운영해 유급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주도적으로 방안을 마련하고 대학을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의총협은 "의사 국가시험 응시와 관련한 불이익 방지 조치를 마련하고 국·사립 의대 구분 없이 모든 의대가 세계적인 수준의 의학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의대에 행·재정 지원을 약속하라"고 요청했다.
의총협은 학생들에게 복귀할 것을 요청하며 "교육자로서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한 심정으로 학생들의 복귀를 요청한다"며 "의대에 진학하면서 처음 마음에 품었던 소중한 뜻을 다시 한번 생각해 주길 학생들에게 간절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홍원화 의총협 회장 겸 경북대 총장은 집단 유급 마지노선으로 7월 중·하순을 꼽으며 그 전에는 의대생이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회장은 "의대생들은 의사 면허증도 없기 때문에 지금 멈추면 그냥 중퇴생일 뿐"이라며 "1학년은 휴학할 수 없고 유급을 받아서도 안 되는 만큼 1학년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휴학 승인이나 학기제 전환 같은 것은 아주 부수적인 내용일 뿐"이라며 "6월 말까지 학생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