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회장, 젠슨 황 회동 이어 AI 반도체 ‘광폭 행보’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 TSMC와 만나 양사 협력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최 회장은 6일(현지시간) 대만에서 TSMC 웨이저자 회장 등 대만 IT 업계 인사들과 만나 AI 및 반도체 분야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인류에 도움이 되는 AI 시대 초석을 함께 열어가자”면서 “고대역폭 메모리(HBM) 분야에서 SK하이닉스와 TSMC의 협력을 강화하자”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HBM4(6세대 HBM) 개발과 어드밴스드 패키징 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4월 TSMC와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HBM4부터 성능 향상을 위해 베이스 다이(Base Die) 생산에 TSMC의 로직(Logic) 선단 공정을 활용할 계획이다. 회사는 이 협력을 바탕으로 HBM4를 2025년부터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베이스 다이란 GPU와 연결돼 HBM을 컨트롤하는 틀이다. HBM은 베이스 다이 위에 D램 단품 칩인 코어 다이(Core Die)를 쌓아 올린 뒤 이를 TSV 기술로 수직 연결해 만들어진다.
이와 함께 양사는 SK하이닉스의 HBM과 TSMC의 CoWoS® 기술 결합도를 최적화하고, HBM 고객들의 요청에도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CoWoS(Chip on Wafer on Substrate)란 TSMC가 특허권을 갖고 있는 고유 공정으로, 특수 기판인 인터포저 위에 로직 칩인 GPU/xPU와 HBM을 올려 연결하는 패키징 방식이다. 수평(2D) 기판 위에서 로직 칩과 수직 적층(3D)된 HBM이 하나로 결합하는 형태라 2.5D패키징으로도 불린다.
최 회장의 AI 및 반도체 분야 글로벌 협력을 위한 광폭 행보는 지난해 연말부터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12월엔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생산기업인 네덜란드 ASML 본사를 찾아 SK하이닉스와 기술협력 방안(EUV용 수소 가스 재활용 기술 및 차세대 EUV 개발)을 끌어냈다. 지난 4월에는 미국 새너제이 엔비디아 본사에서 젠슨 황 CEO를 만나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최 회장의 최근 행보는 한국 AI·반도체 산업과 SK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조나리 기자 hansjo@sporbiz.co.kr
관련기사
- SK브로드밴드, 작년 사회적 가치 8731억 창출...‘고용·환경’ 성과
- ‘AI 광고’ 시대 열린다...통신업계, B2B 서비스 경쟁 시작
- SK텔레콤 ‘미디어 AI’ 기술, 애니메이션 OTT 고객에 선보인다
- 최태원 회장 “개인적인 일 죄송…경영 매진해 사회 기여할 것”
- TSMC·인텔 1나노 공정 속도…삼성전자, 1나노 공정 앞당기나
- HBM 시장 성장세에 韓 반도체 장비업체도 ‘후끈’
- 삼성·SK, AI 열풍 덕에 반도체 호조세…2분기 실적 기대
- 반도체 ‘슈퍼 乙’ ASML, 2분기 매출 9.4조원…전분기보다 18%↑
- SK·삼성, 나란히 ‘세미콘 타이완’ 참가…대만서 차세대 HBM 경쟁
- ‘AI 반도체’ 7대 산업 게임체인저로 육성…1조원 펀드 집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