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여건 이상의 비즈니스 미팅 진행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충청북도와 공동으로 개최한 '바이오 코리아2024'가 많은 관람객들의 참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올해로 19회를 맞이한 바이오 코리아 2024는 '바이오 혁신 기술의 미래와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서울 코엑스에서 3일간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최근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혁신 기술의 동향과 전망을 공유하고, 이 기술들이 개발에 성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글로벌 기업·기관, 연구자, 투자자 등에게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제공했다.
올해는 총 55개국, 707개사, 3만영 명의 관람객이 참관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행사는 비즈니스 파트너링, 인베스트 페어, 전시, 컨퍼런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국내·외 바이오헬스 분야 선도기업들의 미팅 수요 증가로 확장 운영된 비즈니스 파트너링 세션에서는 신규 파트너 발굴, 기술 협력과 공동연구 논의, 기술이전, 투자 등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미팅이 이뤄졌다.
3일 간 1800여건 이상의 미팅이 진행됐으며 국내 우수 기술을 발굴하려는 해외 참가자 수가 전년 대비 25% 증가했고, 미팅 건수 역시 전년 대비 약 36% 증가했다.
인베스트 페어 세션에서는 글로벌 바이오헬스 투자 동향과 전망,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이랩스 코리아(JLABS KOREA)의 투자 허브 전량 등 10개 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해당 세션에서는 14개의 국내 바이오헬스 혁신 기업이 자사 기술의 우수성과 경영전략, 비전 등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전시 세션에서는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랩코프(LapCorp), 우씨앱텍(Wuxi Apptec), 한미약품, 유한양행, 에스티팜, GC Cell 등 23개국 333개 기업이 홍보부스가 참여했다.
주제별로는 ▲바이오텍 ▲AI·디지털헬스존 ▲첨단재생의료관 ▲국가관 등이 운영됐다.
전시에 참가한 해외 기업은 전년 대비 37% 증가했으며, 그중 국가관에서는 10개 국가에서 81개의 현지 기업들이 참가해 국내 기업들과 비즈니스 기회를 논의했다.
컨퍼런스 세션에서는 차세대 신약 개발 플랫폼, 당뇨·비만치료제,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등 바이오헬스 산업의 최신 이수와 기술 동향에 대해 소개했다.
스페셜 세션에서는 차세대 신약 개발 플랫폼, 당뇨·비만치료제, AI 신약개발 등을 다루며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차순도 진흥원 원장은 "국내·외 기업, 기관 및 관계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덕분에 BIO KOREA 2024를 순조롭게 마무리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BIO KOREA를 통해 우리 기업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나가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비즈니스 교류의 장이 되기를 바란”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