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정현 기자] 정부가 내년 연구개발(R&D) 프로젝트로 미국 엔비디아를 뛰어넘는 자율차용 인공지능(AI) 가속기 반도체, 미국 에이브럼스X를 능가하는 하이브리드 전차 등 12개 플래그십 사업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제2차 전략기획투자협의회'를 열고 민간 주도 R&D 전략기획 방안을 논의했다. 전략기획투자협의회는 민간이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차세대 기술 중심 R&D 투자혁신 방안을 논의하는 민관협의체를 말한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플래그십 사업을 포함한 62개의 2025년 신규 R&D 사업과 11개 분야 초격차 프로젝트 로드맵 등을 심의했다.
플래그십 사업에는 세계 최고 성능의 자율주행 반도체, 차세대 전차용 방산기술, 비전지 기반 에너지저장과 차세대 전력망 등이 포함됐다.
특히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차세대 자율주행칩 기술을 국내 기업이 앞설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산업부는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에 들어가는 1000TOPS(초당 테라 연산)급의 차세대 차량용 AI 가속기 반도체 기술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또 사람의 운전 조작 없이 운행이 가능한 ‘레벨4′ 이상 자율주행 네트워크 시스템과 핵심반도체 상용화, 미국의 에이브럼스X를 능가하는 유무인 복합 차세대 전차용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기술 개발에도 도전할 예정이다.
비전지 에너지저장 및 차세대 전력망도 신규 R&D 사업안에 포함됐다. 500㎿(메가와트)급 대용량 장주기 열저장 배터리 상용화 기술개발과 압축공기저장 200㎿급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개발, 원전 탄력운전 핵심기술 개발 등이다.
아울러 이번 초격차 프로젝트 로드맵에는 반도체 맞춤형 온 디바이스 AI 반도체, 미래자동차차용 차세대배터리 및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지능형 로봇 8대 핵심기술, AI 자율 제조 통합솔루션, 군용 위협탐지‧대응 AI무인로봇 개발 등 5개의 신규 프로젝트도 추가됐다.
강경성 산업부 1차관은 “내년도 산업‧에너지 신규 R&D 사업은 민간이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도전‧혁신 연구와 파급력 있는 경제적 성과 창출을 위한 R&D에 예산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정현 기자 awldp219@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