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5000평 규모 스마트 공장 착공식도
1.5만파운드급 엔진 개발 도전…KF-21 엔진 양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에서 임직원들이 엔진을 정비하고 있다. /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에서 임직원들이 엔진을 정비하고 있다. / 한화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45년만에 누적 기준 엔진 1만대 생산을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창원1사업장에서 1만번째 엔진인 공군 TA-50 훈련기의 F404엔진을 생산하면서 ‘항공엔진 1만대 출하식’을 열었다.

출하식 후 KF-21에 장착할 F414엔진을 생산하기 위한 스마트 엔진 공장 착공식도 진행했다. 2025년까지 400억원을 투자해 5000평 규모로 조성되는 공장은 IT 기반의 품질관리와 물류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공장을 목표로 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9년 공군 F4 전투기용 J79엔진 창정비 생산을 시작으로 항공기와 헬기, 선박에 탑재되는 엔진 등을 1만대 생산했다. 이 과정에서 항공엔진 전반에 걸친 기반 기술과 시스템을 확보하고, 유도미사일엔진과 보조동력장치(APU) 등 1800대 이상의 엔진을 자체 개발·생산했다.

또한 5700대의 엔진을 유지·보수·정비(MRO)하는 등 국내에서 유일하게 엔진 설계부터 제조, 사후 관리까지 통합 역량을 보유했다.

15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에서 열린 '항공엔진 1만대 출하식'에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우측 여섯번째), 홍남표 창원시장(우측 세번째), 김명주 경남도부지사(우측 네번째),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우측 일곱번째), 허성무 창원성산 국회의원 당선인(우측 다섯번째) 등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한화
15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에서 열린 '항공엔진 1만대 출하식'에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우측 여섯번째), 홍남표 창원시장(우측 세번째), 김명주 경남도부지사(우측 네번째),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우측 일곱번째), 허성무 창원성산 국회의원 당선인(우측 다섯번째) 등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한화

◆ “2029년 150조원 항공엔진시장 도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엔진 1만대 생산 및 공장 증설을 시작으로 2030년 중후반까지 정부와 함께 KF-21 엔진과 동급 수준인 1만5000파운드급 엔진 개발에 나선다.

기존에는 해외 업체의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국산화 기술협력생산에 나섰다. 앞으로는 전투기급의 독자엔진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항공엔진 시장에 진입하겠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항공엔진 시장은 2029년 150조원이 넘어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또한 국내 업체들과 함께 항공엔진 분야의 생태계를 조성해 첨단 엔진을 독자 개발하고, 무인기, 민항기 엔진을 추가로 개발한다는 중장기 전략도 공개했다.

이를 통해 6세대 전투기 엔진의 핵심 기술인 ‘엔진 일체형 전기 시동 발전기(E2SG)’와 세라믹 복합소재 개발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이날 영상을 통해 “항공엔진은 극소수의 국가만 보유한 첨단기술의 집약체이자, 항공우주산업의 주도권을 결정짓는 핵심기술”이라며 “한화가 그동안 축적한 기술은 대한민국 국방력 강화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축사했다.

손재일 한화에어로페이스 대표는 “육해공군, 정부 및 참여업체 모두의 힘을 모아 해외에 의존했던 항공 엔진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방위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조나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