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김 회장, 한화에어로 대전 R&D센터 방문...연구원들 격려하며 셀카 촬영도
한화 우주사업 허브 총괄 김동관 부회장도 참석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지난달 29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를 방문해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 한화그룹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지난달 29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를 방문해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 한화그룹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지난달 29일 차세대 발사체 사업 단독협상자 선정을 축하하기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를 방문했다. 이 자리에는 김동관 부회장도 함께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김 회장이 대전 R&D 캠퍼스에서 연구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1일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는 발사체의 전 분야 개발이 가능한 국내 유일의 발사체 개발센터다.

김 회장은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대한민국은 자력으로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고 보유한 7번째 국가가 됐다”며 연구원들을 격려했다. 이어 “차세대 발사체 사업 단독협상자 선정은 끝이 아닌 시작”이라며 “우주시대를 앞당겨 미래 세대의 희망이 되자”고 당부했다.

연구원들이 김 회장에게 셀카 촬영을 요청하는 등 간담회는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엄새빈 선임연구원은 “누리호 발사마다 회장님이 준 격려 편지를 간직하고 있다”며 1차 발사 당시 격려 편지를 가져와 김 회장의 친필 서명을 받기도 했다.

김승연 회장과 김동관 부회장이 직원들과 셀카 촬영을 하고 있다. /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과 김동관 부회장이 직원들과 셀카 촬영을 하고 있다. / 한화그룹

김 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관하게 될 누리호 4차 발사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4차 발사는 2025년 예정돼 있다.

김 회장은 “4차 발사의 완벽한 성공으로 우주 전문기업으로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자”고 말했다.

한화그룹은 우주 사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로 누적 9000억원에 이르는 투자를 집행해왔다. 특히 한화의 우주사업 브랜드스페이스 허브를 총괄하는 김동관 부회장을 중심으로 자체 기술 확보와 독자적 밸류체인 구축에 힘을 쏟았다.

그 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발사체를 통한 우주수송을, 쎄트렉아이와 한화시스템은 인공위성 제작 및 위성 서비스를 담당하는 등 우주 사업 밸류체인을 확보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율촌 산단 내에 스페이스 허브 발사체 제작센터를 건설 중이다. 센터가 완공되면 민간 체계종합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굳건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나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