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기업 기후 책임 모니터링' 보고서 발표
51개社 2030년까지 평균 30% 감축..."필요 목표치 43%에는 못미쳐" 
한전, 평가 '부족' 받아..."일관성·투명성 부족"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가 공장 굴뚝을 통해 배출되고 있다. / freeimages.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가 공장 굴뚝을 통해 배출되고 있다. / freeimages.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한국전력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발표한 탄소 배출 감축 목표가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를 막는데 턱없이 부족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들의 로드맵은 지구온난화를 제한하는 데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 51개社, 2030년까지 30% 감축 목표...필요 감축치 43%에 못미쳐

최근 발표된 독일 비영리그룹인 뉴클라이밋 인스티튜트(NewClimate Institute)와 카본 마켓 워치(Carbon Market Watch)의 '기업 기후 책임 모니터링(CCRM)' 보고서에 따르면 51개 주요 글로벌 기업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30%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 목표치는 205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을 제한하는 데 필요한 감축률(43%)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이번 보고서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 등을 분석했다. 또한 목표치 달성 여부와 방법론도 평가했다. 그 결과, 지난 2년간 19개 기업이 감축 목표를 개선했지만,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대다수 기업들의 목표가 모호하고, 배출량 '감축'보다는 '상쇄'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51개사 가운데 △마즈(식품기업) △H&M(소매업체) △에넬 △이베르드롤라(이하 전력 유틸리티 기업) 등 4개사가 높은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최소 50%에서 최대 64%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분석팀은 "가치사슬 전반 배출량을 포함한 스코프3 감축에 대해 유연함을 주자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며 "그러나 이미 불충분한 약속으로 후퇴하고 있으며, 기업의 현재 목표들을 무효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기후 공시에서 스코프3 공시 의무를 철회했다. 스코프3까지 의무화할 경우, 기업들의 반발과 소송으로 법적 분쟁이 다수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기후위기 대응책을 검증하기 위한 자발적 이니셔티브에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 저자인 토마스 데이(Thomas Day) 연구원은 "불충분한 목표를 더 약화시키는 유연한 정책보다는 부문별로 중요한 배출원을 중점으로 세분화한다면 기업들이 수월하게 전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전력의 탄소중립 관련 평가. / '기업 기후 책임 모니터링' 보고서 갈무리.
한국전력의 탄소중립 관련 평가. / '기업 기후 책임 모니터링' 보고서 갈무리.

◆ '2050 탄소중립' 외친 한전...평가는 "배출량 공개, 일관성·투명성 '부족'"

한전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이번 평가 대상에 선정됐다. 한전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선진국의 1.5도 상승 제한을 위해서는 2035년까지 탄소중립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러면서 한전의 배출량 공개에 대해 '일관성'은 '매우 부족'(very poor)을, '투명성'은 '부족'(poor)으로 평가됐다. 이는 △보고의 일관성 △재생 에너지 목표치 △석탄 사용의 단계적 폐지 △가스 고착 위험 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일관성에 대해 "한전은 다양한 배출 범위에 걸쳐 표준화되지 않은 단위와 항목을 사용하고 있어 회사의 배출량 데이터가 불분명하고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실제 2022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내에서 본론과 부록의 스코프 배출량 수치가 다르게 적시됐다. 

보고서는 이런 불일치는 주요 로드맵 제시까지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탄소 집약도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 날짜 △발전 및 용량 혼합 등 필수 지표를 꼽았다. 

더구나 한전의 탄소중립 중장기 목표는 1.5도 상승 제한에 부합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목표 달성 위한 계획도 모호한 상태"라며 "203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해야 하는 선진국 전력 유틸리티의 일정에 충족하지 못한다"고 전했다. 

여기에 한전 탄소중립 로드맵에는 스코프3 배출량이 제외된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2021년 전체 배출량의 절반이 스코프3 배출량이라는 점을 꼬집었다. 

 

정라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