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시하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인도 배터리 기업 엑사이드 에너지와 업무협약을 맺고 인도 전용으로 생산되는 전기차에 현지에서 생산한 배터리셀을 탑재한다. 인도에서 배터리셀 현지화를 통해 안정적인 생산 능력과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대차·기아는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남양연구소에서 엑사이드 에너지와 인도 전용 전기차 모델의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인도 납산 배터리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배터리 기업 엑사이드의 자회사다. 엑사이드는 지난 2022년 자동차용 배터리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엑사이드 에너지를 설립했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이르면 올해 말부터 전기차용 배터리셀을 양산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약은 인도 전용 전기차 출시를 위한 파트너십으로 ▲ 현대차·기아 전용 배터리셀의 개발 및 생산 ▲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 등 전동화 전반에 대한 파트너십 확대 ▲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동 협력 등이 담겼다.
우선 엑사이드 에너지는 올해 연말 양산 예정인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셀을 현대차·기아의 인도 생산거점에 공급한다. 공급된 배터리셀은 인도 시장 전용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으로 이 모델 출시되면 현지 생산 배터리가 탑재되는 최초의 전기차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현대차·기아는 인도에서 생산되는 차량용 배터리의 품질 확보를 위해 개발에서 양산까지 전 단계에서 협력한다. 또 전기차에서 하이브리드차까지 전동화 전반에 대한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인도 정부의 전동화 정책에 공동 대응할 예정이다.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은 “인도는 향후 전동화 확대가 기대되는 중요한 시장으로 초기에 배터리 현지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며, “향후 인도에서 양산 예정인 전용 EV가 인도 기업이 현지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탑재하는 첫 전기차가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세계 3대 완성차 시장으로 알려진 인도는 최근 자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전동화 전략을 펼치는 국가 중 한 곳으로 여겨진다.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전동화 가속화에 나섰다.
현대차는 인도 현지 전기차 생산 시설과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해 2023년부터 10년 동안 약 3조25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2028년까지 6개의 전기차 모델을 투입하고 현지 판매 네트워크를 활용해 전기차 충전소 역시 확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박시하 기자 seeha@sporbiz.co.kr
관련기사
- [특징주] 기아, 장중 4%대 강세…현대차도 3%대↑
- 한화證, "현대차, HEV 물량 확대·밸류업 프로그램 가시화 관건"
- 현대차·기아, 자율주행 배송 로봇 ‘달이 딜리버리’ 공개
- 위기의 테슬라, 사활건 머스크…8월 로보택시에 승부수
- 전기차 둔화에 실적 비상등 K배터리 “지금이 외려 투자 적기”
- 현대차, ‘어린이 통학차량 무상점검 캠페인’ 실시
- 현대차·기아 앱에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지급…주행기록 자동 연동
- 한국차가 선택한 美조지아주…바이든 vs 트럼프 대선 초접전
- 현대차 ‘지금은 충전중’, 제주 전기차여행 지원 캠페인
- 차안 디스플레이 취향대로 바꾼다…기아, 미국서 EV9에 첫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