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업계 "2나노는 '게임체인저'"
[한스경제=김정연 기자] 세계 유수의 반도체 기업이 차세대 스마트폰, 인공지능을 구동할 '2나노'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차세대 첨단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선점하는 기업은 반도체 매출 660조원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첨단 파운드리(위탁생산) 시장에서 TSMC의 점유율은 66%, 25%다. FT가 인용한 분석가들에 따르면 대만 TSMC가 글로벌 우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삼성전자와 인텔은 다음 도약을 기회로 삼아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FT 소식통에 따르면 TSMC는 이미 애플과 엔비디아 등 일부 대형 고객사들에게 2나노 시제품 공정 테스트 결과를 보여줬으며, 2025년 대량생산을 시작한다. 삼성전자도 엔비디아를 포함한 일부 고객사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2나노 시제품의 저가 버전을 제공하고 있다.
나노(㎚)는 반도체 회로간 간격을 의미한다. 간격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앞선 양산 기술은 3나노다.
FT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 헤지펀드 돌턴 인베스트먼트 제임스 림 분석가는 “삼성은 2나노를 게임체인저(산업 판도를 뒤바꿔 놓을 만한 중요한 역할)로 보고 있다”며 “그러나 삼성이 TSMC보다 공정 전환을 더 잘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업계 분석가들은 삼성은 3나노 칩을 가장 먼저 출시했지만, 투입 수에 대한 완성품 양품의 비율인 "수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FT 소식통에 따르면 삼성 3나노의 수율은 60%에 불과하며, 엔비디아의 그래픽 처리 장치 등 복잡한 칩을 생산할 때는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반도체 시장 분석업체 세미애널리시스의 분석가 딜런 파텔은 "(삼성은) 아직 제대로 된 3나노를 출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인텔도 기술 컨퍼런스에서 차세대 18A(1.8나노)를 2024년 말부터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TSMC는 시장에 출시된 자사의 3나노 변형이 전력, 성능 및 밀도 측면에서 인텔과 유사한 수준으로 보고있다고 FT는 보도했다.
FT는 삼성과 인텔이 TSMC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고객으로부터 반사이익을 얻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김정연 기자 straight30@sporbiz.co.kr
관련기사
- SK하이닉스, HBM 역량 강화 'AI인프라' 신설… 수장에 김주선 사장
- 내년 車·반도체 업황 회복, 바이오는 긍정적…철강·유화·이차전지는 우려
- 반도체 업황 회복 국면 진입…관련주, 향후 흐름에 관심↑
- 삼성·SK하이닉스, 네덜란드 ASML과 맞손… 반도체 협력 강화
- 삼성전자, 日 요코하마에 반도체 연구개발 거점 신설
- 美 인텔, 이스라엘에 32조 투자해 반도체 공급망 확대 나서
- 엔비디아, 수출 규제 피해 中 전용 저사양 GPU 출시
- 대만, 친미 총통 당선… 韓 반도체 영향은?
- 대만 TSMC, 4분기 순이익 전년비 19% 감소…예상치는 상회
- 삼성전자, 日서 2나노 반도체 수주…TSMC와 격차 좁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