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미대사 "북한 비핵화 가능성 어려워…한반도 안보 위험 커지는 중"
조현동 주미대사가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조현동 주미대사가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양미정 기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주미 공관 대상 국정감사에서 전쟁과 무기거래 등 외교 현안과 관련한 질의 공세를 퍼부었다.

최근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무력 충돌과 관련된 우려가 커지자, 그간 한국의 핵 무장을 부정적으로 봐 왔던 미국 정치권에서 최근 한국의 자체 핵 무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 것과 관련한 지적도 이어졌다.

국민의힘 소속 김태호 외통위원장은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무력충돌이 중동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우려를 표하며 "확전되면 푸틴과 시진핑이 미소를 띨 것이고, 결과적으로 그 불똥이 동북아로 돌아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같은 당 태영호 의원은 "북한이 이번 기회를 틈타 유엔에서 아랍 국가들을 모아 공세를 벌일 수 있다"며 "북한은 냉전이나 중동전쟁 시기마다 틈새를 파고들었고,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조현동 주미대사는 "정확히 비중을 말하긴 어렵지만 북한 비핵화 가능성이 점점 어려워진다는 평가가 있다"며 "북핵 해결을 위한 대화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과거보다 점점 작아지는 것을 피부로 느낀다. 그만큼 한반도의 안보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태 의원은 북러 무기거래와 관련해 "미국 언론이 가능성 여부를 먼저 흘렸는데, 미국 정부가 사전에 막아 보려고 고도의 첩보 자료를 언론을 통해 흘린 것으로 보인다"며 내부적으로 한미간에 이 같은 정보 공유가 이뤄지고 있는지도 추궁했다.

이에 조 대사는 "미국이 북러간 무기 거래 동향을 상세히 공개하기 전 사전에 미측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전달받고 사전 협의를 했다"며 "러시아가 나름대로 강대국으로서 신중히 대응할 것을 기대한다. 만약 그런 상황(러시아의 대북 군사지원)이 생긴다면 우리도 진지하고 결단력있는 결정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재외공관 주재관들의 정기활동 보고서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재부, 산자부의 영사 활동 보고서 내용이 어이가 없었다"며 "보고서 글자 하나 틀리지 않고 똑같은 '복붙'(복사해서 그대로 붙이기) 수준이었고, 접촉 인사 명단까지 똑같았다. 미국과 경제가 중요한 상황에서 이래서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조현동 주미대사는 "통상 면담 일정을 공유하기 때문에 보고서 내용이 다른 것이 오히려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양미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