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인터넷은행의 주댁담보대출(주담대)이 지난 두달 간 2조 3000억원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8월 말 주담대(전월세대출 포함) 잔액은 약 19조 317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말(17조 3223억원)과 비교하면 1조 9950억원(11.5%) 늘었다.
케이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6월 말 3조 6934억원에서 8월 말 4조 655억원으로 3721억원(1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이 511조 4007억원에서 514조 9997억원으로 3조 5990억원(0.7%)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인터넷은행 두 곳의 성장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특히,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잔액 증가액은 5대 은행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던 우리은행(1조 5442억원)보다도 약 4400억원 많았다.
전체 주담대 시장에서 인터넷은행의 비중은 잔액 기준으로 약 2%에 불과하지만, 최근 인터넷은행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주도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인터넷은행으로 주담대 수요가 쏠린 것은 금리 경쟁력 때문이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올해 다른 은행보다 낮은 금리를 내세워 공격적인 주담대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지난 7월 중 신규 취급한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각각 연 4.16%, 4.17%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모두 지난 6월(4.02%, 4.14%)보다 평균 금리가 올랐지만 5대 은행(4.28∼4.70%)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주담대 금리를 내리고 특판을 진행하면서, 지난 4∼5월 중에는 평균 금리가 3%대로 내리기도 했다.
인터넷은행이 금리를 낮추자 시중은행 대출을 이용하다가 갈아탄 대환 수요도 몰린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최근 신규취급액 중 50∼60%가 대환 고객이라고 밝혔다.
인터넷은행 후발 주자인 토스뱅크도 지난 5일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했다. 금융권에서는 토스뱅크도 내년에는 주담대 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주담대 출시 계획에 대해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나 일정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양경숙 의원은 “가계부채가 이미 세계에서 위태로운 수준이고,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하는 가계대출 증가는 여러모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늦추는데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정책적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