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일본 정부가 오는 2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이후 약 12년 만이자 2021년 4월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가 오염수 처리 방식을 해양으로 결정한 지 약 2년 만에 방류가 개시된다.
22일 아사히 신문 등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관계 각료회의를 연 뒤 "기상 등 지장이 없으면 (오염수를) 24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이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일본) 정부의 판단 및 요청에 의거해 (오염수) 방출 개시를 향한 준비를 신속하게 진행시켜 가겠다"고 밝혔다.
도쿄전력은 각료회의 결정 직후 고바야카와 도모아키 시장의 지시에 따라 해양 방류 예정인 오염수를 관으로 옮기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후쿠시마 원전에는 약 134만t(톤)의 오염수가 대형 탱크 1천여 개에 보관 돼 있다.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쳐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를 바닷물과 희석해 약 1km 길이의 해저터널을 통해 원전 앞바다에 방류할 방침이다.
오염수는 현재까지도 원전 부지로 유입되는 지하수와 빗물로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류 기간을 예상하기 어렵지만, 30년께 걸릴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달 4일 발표한 종합 보고서에서 "도쿄전력의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안전 기준에 부합한다"며 "방류에 따른 방사선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미미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IAEA는 "해양 방류는 일본 정부의 결정이며, 그 정책을 지지하거나 권고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선을 긋기도 했다.
IAEA는 이날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첫날부터 안전 기준 부합 여부에 대한 현장 감시 및 평가 활동을 이어나가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오염수) 방류 첫날부터 현장에서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지 이들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성명을 게재했다.
한편, 우리 정부는 해수와 수산물 방사능 검사 건수를 늘리는 등 보다 강화된 방사능 관리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관련기사
- 日 "오는 24일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개시"...환경단체 "日 무책임에 韓 방조 합작품"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달 내 유력’...기시다 총리 “판단 최종 단계”
- 정부 "日측에 오염수 조기방류 요청? 전혀 아냐"
- 민주, 尹 광복절 경축사 두고 "日 과거사 반성 없는데, 무슨 미래지향적 전환"
- 민주 ‘핵 오염수 저지’ UN에 진정…“고체화 비용, 차라리 공동 부담하자”
- 한일,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실무 협의 진행..."공감대 형성"
- 오는 24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정부 "과학적·기술적 문제 無"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연기가 배려? 日언론, “24일 방류 한국 사정 고려”
- [포토] 오염수 방류 D-1, 정의당 의원단 "일본의 해양투기 결정을 규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