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나보타 美 파트너사 ‘이온’,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세계 최초 ‘삽화성 편두통’ 적응증 확보 집중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 /대웅제약  제공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 /대웅제약 제공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치료 적응증 미국 파트너사가 뉴욕증시에 입성했다.

대웅제약은 ‘이온바이오파마’가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하며 투자금 1억2500만달러(약 1625억원)를 확보했다.

종목명은 ‘이온(AEON)’이다. 이 회사는 대웅제약이 나보타의 글로벌 치료제 사업을 위해 지난 2019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이오 기업이다. 나보타의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 영국 등 글로벌 판권을 보유하고 있다.

FBI(Fortune business insight)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톡신 시장은 65억달러(약 8조 3000억원)를 기록했고, 이 중 치료 시장은 53%로 34억4000만달러(약 4조 4000억원)다.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향후 치료 적응증이 확대될수록 더욱 성장할 것이라는 게 대웅제약 측 판단이다. 실제로 나보타로 개발 중인 ‘삽화성(간헐적) 편두통’ 시장은 185억달러(약 23조원) 규모다. 

무엇보다 보툴리눔 톡신 치료 시장에 진출한 기업은 손에 꼽는다. 만약 미국 치료 시장까지 진출하게 된다면 기업가치는 큰 폭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온바이오파마는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미국에서 진행 중인 △삽화성·만성 편두통 △경부 근긴장이상 △위마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등 적응증 확대를 위한 임상에 더욱 속도를 낼 계획이다.

나보타의 삽화성 및 만성 편두통은 현재 임상 2상 진행 중이다. 삽화성 편두통은 올 하반기, 만성편두통은 2024년도 2상 톱라인 발표를 계획하고 있다. 

경부 근긴장이상 적응증은 올해 안으로 2상을 종료하고, 2024년 3상 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위마비 적응증은 임상 2상 신청계획(IND) 제출을 완료했다. PTSD 적응증은 전임상 단계다.

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이온바이오파마의 미국 증시 상장은 나보타가 치료 시장에서도 통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을 증명한 것”이라며 “cGMP 획득과 FDA 승인으로 입증한 나보타의 우수한 품질과 양사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톡신 치료 시장 진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변동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