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자원순환사회연대, 3일 '탈 플라스틱 실천! 다회용품 사용은 필수!' 캠페인 진행
올해 14번째인 '국제 플라스틱 안쓰는 날'을 맞이해 자원순환사회연대는 관련 캠페인을 진행했다.
올해 14번째인 '국제 플라스틱 안쓰는 날'을 맞이해 자원순환사회연대는 관련 캠페인을 진행했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국제 플라스틱 안 쓰는 날(7월 3일)을 맞아 환경단체들이 탈 플라스틱을 외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전 국민들이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원순환사회연대는 3일 '탈 플라스틱 실천! 다회용품 사용은 필수!'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올해 14번째 맞이한 '국제 플라스틱 안 쓰는 날'은 2008년 스페인 국제환경단체 제안으로 시작된 캠페인은 전 세계 80여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행사다. 

플라스틱 문제는 끊이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 19가 발생으로 인한 배달용기·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면서 2020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2019년(1757톤) 대비 14% 늘어난 1998톤을 기록했다. 

특히 생활폐기물의 약 32%는 일회용품과 포장폐기물이다. 2020년 기준 연간 약 7000만톤이 발생, 처리비용만 해도 9조원에 달했다. 

현재 정부·지자체 등은 플라스틱, 특히 일회용품과 포장폐기물 감축을 위해 △일회용컵 보증금제 △일회용품 사용 및 과대포장 규제 △포장재 없는 가게 확산 △폐전기전자폐기물 감량 위한 수리권 보장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자원순환사회연대는 기업·소비자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 국민이 '플라스틱 안 쓰는 날'에 적극 동참해 일회용품과 포장폐기물 사용을 최소화한다면 약 2200만 톤의 생활폐기물을 감량할 수 있다"며 "이는 약 250억원의 처리비용을 절감함으로써 탈 플라스틱 사회 구현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텀블러 갖고 다니기 △일회용품 사용 안하기 및 포장재 없는 가게 이용 △포장재 없는 제품 이용 △비닐봉투 안 쓰기 등을 제안했다. 

정부에는 △다회용품 사용 확대 △수리권 보장제 등 플라스틱 폐기물 감량을 위한 제도 개선을, 생산기업에는 포장재 감축과 재활용이 원활한 제품 생산을, 유통업체에는 매장 내 포장재 최소화한 제품의 판매를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전 세계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UN은 지난해 3월 제5차 환경총회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막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2024년까지 제정하기로 합의, 플라스틱 전 주기 오염을 막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유럽연합(EU)에서도 지난해 △포장재 지침 개정안을 통해 포장재 재활용성 강화 △포장재 감량 △2030년부터 일회용품 사용금지 단계적 도입 △플라스틱세 도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