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일평균 1644건 신청...1금융권 문턱 넘지 못한 금융 사각지대 포용
/토스뱅크
/토스뱅크

[한스경제=박종훈 기자] 토스뱅크의 비대면 개인사업자 대출이 출시 1년 만에 대출 규모 1조 5000억원 수준으로 성장했다. 특히 중저신용자의 대출 비중이 잔액 기준 49.8%에 달한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토스뱅크가 인터넷전문은행 최초로 선보인 '토스뱅크 사장님 대출'은 올해 1월에만 1830억원의 자금을 공급했다. 전 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 가운데 25%를 토스뱅크가 공급한 것이다.

특히 중저신용자 대출의 비중이 49.8%인 점은 주목할 만하다. 토스뱅크는 이들을 '건전한 중저신용자'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자체 개발한 신용평가모형(TSS)으로 실질소득과 상환능력을 갖춘 이들을 발굴한 덕이다.

그 결과 제1금융권에서 소외됐던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포용, 저축은행이나 캐피탈 등의 제2금융권 이상에서 이동도 두드러졌다.

이에 따라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은 기존 대출의 일부를 상환하며 보다 낮아진 금리로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신용점수도 155점 가량 상승하며 이른바 '크레딧 빌딩' 효과를 누릴 수 있었다.

게다가 대출 신청부터 실행까지 평균 3분 이내에 이뤄지는 비대면 대출이라 영업장을 비우고 은행을 찾기 힘든 개인사업자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었다. 1년 동안 총 60만건의 대출 심사를 받으며 하루 평균 약 1644건씩 상담이 이뤄진 것이다. 

또한 대출 고객군을 분석한 결과, 기존엔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이용하기 어려웠던 고객들이 새로운 기회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증빙이 어려웠던 운수업 종사자와 창고업, 광업, 긱워커 등이 4.2%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이 32.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들은 주로 온라인 사업장을 운영하는 비대면 개인사업자이다. 또한 음식점업(13.3%), 제조업(6.7%)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 같은 결과가 가능했던 것은 개인사업자들의 영업지속성과 소득의 정기성에 주목한 결과다. 토스뱅크 TSS는 매출액이 비록 크지 않더라도 연소득이 일정하거나 매출이 꾸준히 발생하는 경우, 실질 상환능력이 뛰어나다고 판단한다. 이는 단기간에 높은 소득을 올린 사업자에 비해 높은 신용도를 인정하는 것이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일평균 1644건의 대출 신청이 이뤄졌을 정도로 개인사업자 대출에 대한 고객들의 호응이 높았다”며 “지난 1년간 삼중고를 겪으며 긴급 사업 자금이 필요했던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이고도 적시에 공급을 해왔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