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성 의원 "대통령실 총무비사관실 개입"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18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하 문체위) 국정감사에서는 대통령실이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빌린 그림에 대한 국정감사 자료 제출을 거부하도록 지시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초유의 국감 방해 사건”이라는 지적이 쏟아졌다. 여기에 윤범모(71) 국립현대미술관장의 내부 갑질과 부당 인사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임종성(57)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미술관이 대통령비서실에서 대여한 미술품은 정부미술은행 등 총 21점이고, 작품대부약정서를 체결했다. ‘약정서 및 부속 신청서류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더니 미술관이 거부했다”며 “거부 주체를 확인하니 그림을 대여한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실에서 ‘자료제출을 하지 말고, 이를 지시한 총무비서관실 직원 이름도 밝히지 말라’고 했다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명백히 대통령 총무비서관실이 문체위 국감에 개입해서 국회의원 자료제출 거부를 지시한 것으로, 국감을 방해하는 행위다”라고 말했다.
임 의원은 “거부 사유는 전시 장소가 노출될 경우 집무실 내부 구조가 노출될 수 있어 제출도 열람도 안 된다는 것이다”라며 “설계도를 문의한 것도 아니고, 대부약정서 양식을 보면 전시장소는 단순히 기입하게 돼 있는데 총무비서관실은 그림을 대여하면서 대체 어떤 내용을 적시했기에 적시된 장소가 누출될 경우 청사 내부구조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또 “오히려 총무비서관실 주장이 사실이라면 중대한 보안사항을 유출한 게 아닌가”라고 되물었다.
임 의원은 관련자 고발 조치도 주장했다. 그는 “이후에도 자료제출을 거부할 시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과 미술관의 박종달(57) 기획운영단장을 즉시 고발하고, 총무비서관실에도 강력한 항의와 공식 사과, 법적 조치를 검토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국감은 윤범모 관장의 현대미술관 관리 부실, 인사 문제 등도 지적됐다. 이용 국민의힘(44) 의원은 “직원 갑질, 인사 탄압 등 계속해서 비판이 나오는데 그 자리에 계신 게 떳떳한가”라며 “윤 관장은 초임 임기 말 부적절 갑질 탄압으로 노조가 성명서를 돌리기까지 했는데도 정권의 비호를 받고 재임용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언론에서도 전형적인 ‘알박기’란 지적도 있고 국립미술관의 수준을 끌어올릴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는 자조까지 나온다”고 비판했다.
이용호(62) 국민의힘 의원도 “전문성도 없고 민중미술계에 편향된 인사란 게 대체적인 평가다. 최악의 경영을 했다는 지적도 있다. 2019년 개관 50주년 기념전에 한용운의 글씨는 복제본을 걸었다”고 꼬집었다.
이에 윤 관장은 “제 불찰이 많다고 본다. 우리 직원 중에 그런 일이 있었던 것 같은데 기관장으로서 제 불찰이다”라며 “(경영과 관련해선) 따로 평가를 받아야 할 것 같다. (개관 50주년 전시와 관련해선) 표기 누락 등 부분적인 오류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윤 관장 부임 이후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 구매처가 서울옥션에 집중됐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황보승희(46) 국민의힘 의원은 "윤 관장이 오기 전에는 서울옥션에서 1억5000만 원 어치 소장품 구매를 했는데 (부임 이후에는) 15억 원, 15억 원, 10억 원 등 집중 구매가 이뤄졌다"고 짚었다.
그러자 윤 관장은 "그 기간 경매에 좋은 작품이 많이 나와서 양대 경매사를 통해 비슷한 수준으로 낙찰을 받았다"고 답했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