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신풍제약 오너일가, 주식 대량 매매 후 빚 청산
일양약품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 /일양약품 제공
일양약품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 /일양약품 제공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코로나19 치료제의 효능을 왜곡해 주가를 부풀린 후 오너일가는 주식을 팔아 큰 시세차익을 거둬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일양약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소환됐다. 또한 이번 사태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일부 업체들은 긴장하는 모양새다.

김동연 일양약품 대표는 오는 20일 열리는 복지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앞서 위원회는 지난 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증인·참고인 출석요구 추가, 변경 및 철회의 건’을 의결했다.

기존에 증인 명단에 올랐던 김태영 경보제약 대표와 신영섭 JW중외제약 대표의 철회됐다. 경보제약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는 수사 중인 사안에 대한 혐의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소명했고, 경장영양제 피딩줄 유료화 논란으로 일으킨 JW중외제약는 다시 무료로 공급했기 때문이다.

김 대표가 국감장에 서게 된 이유는 일양약품이 최근 코로나19 치료제의 효능을 왜곡해 주가를 띄운 혐의(자본시장법 위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어서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일양약품이 자사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다는 잘못된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앞서 일양약품은 2020년 3월 슈펙트를 코로나 환자에게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70% 감소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 발표로 2만원을 밑돌던 주가는 2020년 7월 10만원을 돌파하며 5배 넘게 폭등했다.

경찰은 일양약품이 슈펙트의 코로나 치료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진행된 고려대 교수의 임상시험 연구결과를 왜곡해 유포했다고 보고 있다. 연구를 진행했던 교수도 연구 보고서와 보도자료가 다른 측면이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경찰은 일부 대주주는 주가 최고점에서 주식을 대거 매각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실제로 정도언 일양약품 회장의 친인척들은 지난 2020년 4월부터 7월까지 7만4026주를 매도했다.

일양약품 측은 수사가 진행 중인 것은 사실이지만, 연구결과를 다르게 보도한 사실이 없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상황에서 제약 본연의 임무를 다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대주주와 특수관계인도 이번 사건과 무관하다고 했다.

문제는 주가를 띄우기 위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내세운 업체가 상당하는 것이다. 국민들은 팬데믹으로 가족과 주변인들을 잃는 아픔을 겪을 동안 돈벌이에만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신풍제약에 대한 시선도 곱지 않다. 이 회사는 자사 말라리아 치료 신약 ‘피라맥스’를 약물 재창출 방식으로 경구용(입으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한다고 홍보했다. 이로 인해 2020년 초 6000원 수준에 불과했던 주가는 같은 해 9월 21만원대로 치솟았고, 한때 시가총액 10조원 웃돌았다. 그러나 지난해 국내 임상 2상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사실상 개발에 실패한 셈이다. 현재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회사의 연구개발 능력을 감안하면 개발할 가능성이 낮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게다가 신풍제약 최대주주인 송암사는 지난해 4월 200만주를 블록딜(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 1680억원의 현금을 마련했다. 이 회사는 오너 3세인 장원준 사장이 2016년 초 설립한 회사다.

앞서 신풍제약도 지난해 9월 자사주 128만9550주를 주당 16만7000원에 블록딜해 2154억원을 손에 넣고, 단기차입금 985억원과 장기차입금 76억원을 거의 다 갚는 등 부채를 해결했다. 송암사 역시 지난해 부채부터 상환해 따가운 눈총을 받았다.

이밖에 국내 20개 이상 업체가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했다. 현재 성공한 기업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유일하다. 셀트리온 렉키로나도 허가를 받았지만 변이 바이스러가 우세종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효과가 미미해 더이상 처방되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주가 부풀리기는 팬데믹 때마다 반복되는 문제”이라며 “다만 신약개발 성공 가능성이 낮고, 임상까지 했기 때문에 위법을 입증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일양약품 외에도 신풍제약 등 업계 전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해보인다”고 덧붙였다.

변동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