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토위, 포스코건설 건축사업본부장 국감 출석 요구
괴정 5구역 비리 의혹 관련 불법행위 동조했다는 주장
신안선선 출입문 문제도 언급...포스코건설은 반응 無
포스코건설 사옥 전경. / 포스코건설 제공
포스코건설 사옥 전경. / 포스코건설 제공

[한스경제=서동영 기자] 포스코건설이 올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신안산선, 괴정5구역 재개발과 관련해 포스코건설이 잘못을 범했다는 이유다. 

오는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할 일반증인이 변경됐다. 지난 12일 국토위는 일반증인 추가를 결정했다. 여기엔 정희민 포스코건설 건축사업본부장, 정수일 구룡디앤씨 대표, 이상익 상지건축 사장이 포함됐다. 

국토위 야당 간사인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이들은 정비사업 비리 의혹과 관련된 증인이다. 정확히는 부산 사하구 괴정5구역 재개발사업 관련자다. 

최인호 의원은 지난 6일 국토부 국정감사에서 "괴정 5구역 전 조합장과 포스코건설이 중도금 3000억원을 신설해 변칙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도금 이자 400억원을 조합원들에게 추가 부담시켰다"고 주장한 바 있다. 최 의원은 “대기업인 포스코건설조차 이런 불법행위에 동조했다는 의혹의 정황 증거가 나오고 있다”며 국토교통부에 조치를 요구했다. 

포스코건설이 이번 국정감사에서 이름이 오르내린 건 괴정5구역뿐만 아니다. 같은 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신안산선과 관련해 포스코건설을 콕 집어 가리켰다. 

김병기 의원은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이 신안산선 공사 입찰 시 경쟁사인 삼성물산보다 낮은 공사비를 써냈음에도 수주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또 저심도 공사보다 사업비가 절감되는 대심도 공사로 공법이 바뀌었음에도 포스코건설이 저심도 공법 기준의 정부지급금을 그대로 받아 이득을 취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무단으로 신안산선 15개 역 중 5곳에서 설계보다 출입구를 줄이거나 위치를 변경, 국토부 지침을 어겼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14일 진행된 국토위 서울시 감사에서도 대림삼거리 출입구 변경을 거론하며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국토부에 시정을 건의해달라"고 요구했다. 

의원들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포스코건설은 이렇다할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침묵을 지키고 있다. 다만 21일 국감 증인 출석 요구에는 응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신안산선에 관해선 국토부가 지난 4일 일부 사안을 해명했다. 국토부는 "신안산선 사업은 지난 2015년 민자적격성 조사 시 저심도 공법으로 사업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총사업비는 3조9916억원이었다"며 "사업자 모집 및 협상과정에서 민간사업자가 창의적으로 대심도 공법 등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제안, 총사업비는 6451억원 감소한 3조3465억원으로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정부지급금과 민간투자비가 각각 약 3200억원이 감소한 셈"이라며 정부지급금이 그대로 지급됐다는 지적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서동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