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인터넷 구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위해 계속 노력”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KT가 차세대 보안 기술로 평가받는 양자암호통신 사용화에 한 발짝 더 다가간다.
KT는 28일 서울-부산 구간에 구축한 양자암호통신 설비에 대한 품질 평가를 다음달 15일까지 3주 동안 진행한다고 밝혔다.
KT는 이번 품질 평가에 독자 개발한 ‘양자암호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QoS Parameter)’를 활용한다. 양자암호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는 지난 2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세계 최초로 국제 표준 승인한 양자암호통신 품질 평가 기준이다.
이번에 품질 평가를 시행하는 서울-부산 구간은 약 490km으로 대한민국 국토 내에 구축된 양자암호통신 설비 중 가장 길다. 대한민국 국토 대부분에 관련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수준이다.
특히 이번에 품질 평가를 시행하는 구간에는 KT가 기술을 이전한 코위버, 우리넷, 아리안 등의 국산 장비와 도시바 디지털 솔루션즈의 기술 등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을 구현했다.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통해 장거리 구간에 양자암호통신을 구현하고,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것은 KT가 세계 최초다.
KT는 국내외 양자산업 생태계 확장을 위한 개방형 QKDaaS(QKD as a Service) 테스트베드도 도시바 디지털 솔루션즈와 올해 2분기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이 테스트베드는 서울-대전 구간에서 운영되며 양자암호통신 기술 평가와 차세대 응용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년간 개방형으로 운영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양자암호통신 기업 간 기술 협력이 가능해지고, 국내 장비 제조사에게 더욱 나은 시험환경이 제공돼 대한민국 양자암호통신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KT는 세계에서 양자암호통신 특허보유 1위 기업인 도시바 디지털 솔루션즈와 양자암호통신 분야에서 기술 및 표준화 분야를 중심으로 포괄적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도시바 디지털 솔루션즈 오카다 슌스케 사장은 “도시바 디지털 솔루션즈는 양자암호통신의 산업계 조기 적용을 위해 일본,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에서 업계 파트너십을 확립해 왔다”며 “ 한국의 KT와 협업함으로써 당사 양자암호통신 사업의 글로벌 확장을 보다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이한 KT 융합기술원장은 “이번 품질평가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로 구축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한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KT는 양자암호통신에 머무르지 않고 양자 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도 개발하기 위해 연구개발과 투자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김재훈 기자 rlqm93@sporbiz.co.kr
관련기사
- 차세대 보안기술 ‘양자암호’ 본격 육성…과기부, 투자 2배 증액
- 증가하는 ‘디지털 보안’ 위험…양자암호 개발 시계 빨라진다
- KT, 고속 양자암호통신 개발 성공…4000개 양자암호 동시 공급 가능
- KT, ‘로봇 플랫폼 사업자’ 도약…“디지코 핵심 AI로봇 사업”
- 구현모 KT 대표 “KT 주가 아직 저평가…지주형 회사 전환 관심”
- KT, 클라우드 사업 분리 ‘KT클라우드’ 출범…“2026년 매출 2조 달성”
- 한국 주도 ‘5G‧양자암호 통신 보안’ 4건 등 국제 표준 채택 눈앞
- SKT, 강소기업과 국방·공공 아우르는 ‘QRNG 양자보안’ 생태계 만든다
- SKT, 양자암호 국제표준 도전…대중화 초석 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