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산업부-철강업계, 민관합동 간담회 개최
우리 수출영향 및 대응방안 점검
미국 철강 관세 (CG)/사진=연합뉴스
미국 철강 관세 (CG)/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박지은 기자] 미국과 영국이 22일(현지시간) 발표한 미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른 철강 수입관세 관련 합의안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윤창현 통상법무정책관 주재로 철강업계와 민관합동 간담회를 개최하고, 우리 수출영향 및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 자리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미국과 영국간 합의가 우리 기업들의 대미 철강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는 한편, 철강 232조치와 관련된 최근 미국 내 동향을 철강업계와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업계 관계자들은 영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과 영국간 합의가 우리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업계는 232조치 개선을 위해 노력해 온 정부 협상팀을 계속 지지하며, 향후에도 업계와 산업부가 계속 긴밀히 공조해 대응해 나가자는데 동의했다.

아울러 업계는 기존 232 쿼터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산업부가 미국 측과 협의 시 이를 적극 고려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간 산업부는 한국이 미국에 고품질 철강을 공급하는 공급망 협력국이자 한미 FTA 등으로 맺어진 긴밀한 경제·안보 핵심 동맹국임을 강조하며, 미국과의 고위급 회담 계기에 한국산 철강에 대한 232조치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미 정·관계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아웃리치를 다각적으로 수행해왔다. 

또 지난주 한미 FTA 10주년을 계기로 방미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캐서린 타이 USTR 대표 등과의 면담을 통해 미국 측에 철강 232 개선 필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했으며, 양국이 조속히 협의에 착수하여 의미있는 진전을 이루어낼 것을 촉구했다. 

이에 미국 측은 한국이 과거 쿼터합의를 타결한 국가이긴 하나, 이번 이슈에 대한 한국 내 관심을 잘 알고 있다면서, 서로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향후에도 우리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232조치의 개선을 미국 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박지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