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진출 포부 “글로벌 진출 절박…중앙 집중 전략”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남궁훈 카카오 대표 내정자가 미래 중요 신사업으로 메타버스를 지목하고 텍스트 중심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남궁 대표 내정자는 24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카카오는 카카오톡에서부터 강하게 이어저온 텍스트DNA를 기반으로 메타버스를 만들어나가는 것을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며 “3D 아바타를 토대로 한 메타버스뿐 아니라 이미지, 텍스트 등 디지털 콘텐츠 형태소 측면에서 메타버스를 확장할 것”이라 밝혔다.
카카오는 현재 메타버스 사업 추진을 위해 'V2TF'와 'OTF' 등 2개의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 남궁 대표 내정자는 “V2TF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서비스로, 메타버스향 롤플레잉 채팅을 기획하고 있다”며 “OTF는 '관심 기반' 오픈 채팅에 메타버스를 접목하는 것을 준비 중”이라 설명했다.
이어 “향후 전략적 인수합병(M&A)도 세계 시장 확장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메타버스, 콘텐츠 분야에서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남궁 대표 내정자는 카카오의 내수 기업 이미지와 글로벌 사업 진출에 대해서도 향후 계획을 밝혔다. 현재 카카오의 글로벌 사업은 각 개열사 별도의 전략으로 진행 중이다. 남궁 대표 내정자는 현재 개별 글로벌 전략을 중앙 집중 전략을 펼치겠다고 설명했다.
남궁 대표 내정자는 “카카오 정도로 성장 했으면 해외에서 돈을 벌어오라는 건 국민들의 명령에 가까운 메시지라고 생각한다”며 “지금까지 각 계열사별 전략 아래 해외 진출을 진행했다면 이제부턴 중앙 집중적인 해외 전략을 펼쳐나가야 하는 시점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왜 카카오는 글로벌 진출을 하지 않느냐는 질문이 많은데 사실 내부적으로 체크해보면 그렇게 작게 진출한 건 아니다”며 “글로벌 진출이 절박한 상황이며 계열사 174개 중 해외 법인이 42개라 사실 적지 않은 규모로 해외 진출을 한 상황이다”고 전했다.
아울러 남궁 대표 내정자는 “실제 해외에서 게임, 웹툰 등 콘텐츠 쪽 성과를 내고 있다”며 “가령 카카오게임즈 재팬과 카카오 픽코마를 재무적으로 통합해 일본 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등 글로벌 비즈니스의 중심축을 일본 시장으로 두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우리가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해 앞으로 더 공격적으로 해야겠다는 판단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더 해외 사업에 더 집중해야겠다는 생각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남궁 대표 내정자는 ‘카카오 주가가 15만원이 되는 날까지 법정 최저 임금만 받겠다’는 발언에 대해 “시장의 신뢰를 되찾고 시장 환경이 개선되면 카카오 주가 15만원은 다시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임기가 2년이기 때문에 2년 안에는 끝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재훈 기자 rlqm93@sporbiz.co.kr
관련기사
- 카카오, 지난해 매출 6조원 돌파…주주가치 위한 자사주 3000억 소각
- 카카오, 글로벌 급성장 브랜드 3위 달성…네이버 브랜드역량 5위
- ‘내정자 주식 먹튀’ 논란 카카오, ‘남궁훈’ 단독대표 내정
- 김범수, 카카오 의장직 사임…카카오 글로벌 확장 전면 나선다
- '세대교체' 네이버-'에이스 등판' 카카오의 이구동성 “글로벌로 간다”
- 남궁훈 카카오 대표 “상생기금 3000억 등 변화된 모습 보여줄 것”
- 카카오게임즈, 1Q 영업이익 421억원 달성…전년 比 170%↑
- 카카오, 메타버스 비전 ‘카카오 유니버스’ 공개…“관심사로 전 세계 연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