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서 '한복공정' 논란
서경덕 교수 "우리 문화는 우리 스스로 지켜야"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중국 소수민족으로 등장해 논란이 됐다. 일각에서는 '한복공정'(한복+동북공정)이 벌어졌다는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4일 오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 때 중국 내 56개 민족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나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순서에 흰색 저고리에 분홍색 치마를 입은 여성이 등장했다. 한복으로 추정되는 이 옷을 입은 여성은 중국 조선족을 대표해 나왔다.

그러자 국내에서 '중국이 한복을 자신들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장면'이라며 우리 역사를 중국이 자신들의 것으로 삼으려는 동북공정에 빗대 한복공정이라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마침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복을 입고 개회식을 직접 관전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앞서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 개회식 때도 한복이 등장한 바 있다. 당시 식전 행사 때 지린성 옌볜 가무단의 여성 100여 명이 한복을 입고, 아리랑 민요를 배경으로 부채와 장구춤을 선보였다. 이때도 불쾌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다만, 한복을 입은 출연자가 모두 소수 민족의 하나인 조선족 문화와 복식을 소개하는 맥락이었다는 점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중국의 소수민족인 조선족을 대표하기 위해 (한복을) 등장시켰다고 하더라도, (중국은) 이미 너무 많은 '한복공정'을 지금까지 펼쳐왔다"며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상이라는 진실을 전 세계에 더 널리 알려야 한다.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에 맞서 무엇이 잘못됐는지 정확히 짚어주고, 우리 역사와 문화는 우리 스스로가 지켜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