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제네시스 GV60 등 출고지연 사태 가운데 보조금 반토막 
폴스타2 5490만원 맞추자 예약 몰려…아이오닉5·EV6 경쟁
제네시스 GV60.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네시스 GV60.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한스경제=김정우 기자] 올해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 가격이 내려가면서 자동차 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새로 마련된 기준선에 맞춰 차량가격을 책정하거나 다른 차종으로 계약을 변경할 수 있는 제도를 시행하며 대응하고 있다.

산업통상부·환경부 등이 최근 발표한 ‘2022년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침 개편안’에 따르면 올해 전기차 기준 대당 보조금 최대치는 80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하향됐다. 또 보조금 100% 전액 지급 차량가액 상한선은 기존 6000만원 미만에서 5500만원 미만으로 내려갔다. 보조금 50% 지원 대상도 5500만원부터 8500만원 미만 차종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보조금을 모두 지원 받아 4990만원(서울시 기준)에 구매 가능했던 제네시스 ‘GV60(스탠다드 2WD 기준)’는 올해 실구매가가 5540만원으로 550만원가량 오르게 됐다. 지난해 100% 지급 상한선인 6000만원 미만에 맞춰 5990만원으로 가격을 책정했지만 올해는 국고 보조금을 절반 밖에 받을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 추후 발표 예정인 지방자치단체 보조금도 줄어들 가능성이 큰 만큼 실 구매가격은 더 오를 수 있다.

올해 수차례 가격을 인상한 테슬라의 ‘모델3’도 6000만원을 넘어 보조금을 절반밖에 받을 수 없고 지난해 50% 보조금을 받은 테슬라 ‘모델Y’ 퍼포먼스 트림(8699만원)은 올해부터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GV60와 같은 가격의 벤츠 ‘EQA’도 지난해 800만원대에서 올해 400만원대로 보조금이 줄었다.

현대차그룹은 GV60를 비롯해 최근 반도체 수급난으로 차량 출고 지연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조금 지급 기준이 변경되자 계약 변경을 할 수 있는 컨버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보조금 100% 지급을 가정한 구매 계획에 따라 2WD 모델을 선택한 소비자가 계약 순번을 유지한 채 다른 옵션 트림 모델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현대차는 지난해에도 출고 지연 사태로 ‘아이오닉5’에 대해 두 차례 컨버전을 실시한 바 있다.

다만 컨버전 제도를 시행해도 소비자가 기존에 원했던 차량을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불만을 완전히 해소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보다 좋은 구매 조건을 제공하는 경쟁 브랜드 전기차로 발길을 돌릴 가능성이 크다.

폴스타2. /사진=폴스타코리아
폴스타2. /사진=폴스타코리아

최근 국내 시장에 새로 진출한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는 새로운 보조금 기준에 맞춰 전략적으로 가격을 책정했다. 지난 18일 출시된 ‘폴스타2’ 롱레인지 싱글모터 모델은 가격을 5490만원으로 책정해 보조금 전액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에 실제 출시 2시간여 만에 폴스타2는 예약분 2000대를 돌파했으며 이 중 대부분이 싱글모터 모델인 것으로 전해졌다.

테슬라도 지난해 초 국고 보조금 지급 기준이 6000만원 미만으로 발표되자 주력 판매 차량인 모델3 가격을 일시적으로 5999만원으로 낮췄다가 보조금이 소진된 하반기 이후 다시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이 같은 전략에 힘입어 테슬라는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약 1만7000대를 판매, 지난해 국내 수입 전기차 판매량 2만3000여대 중 74% 비중을 차지하는 성과를 냈다.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는 소비자 구매를 활성화함으로써 친환경차 시장으로의 전환을 가속하는 동시에 국내 자동차산업을 부양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있다. 지난해에는 테슬라가 ‘고무줄’ 가격 정책으로 시장을 주도권을 방어해 이 같은 효과가 상당부분 반감된 면이 있다.

올해 변경된 기준에 따르면 판매가격이 5000만원 전후인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는 지난해에 이어 보조금 100% 대상에 해당돼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테슬라의 소형 전기차 모델2는 내년 이후에나 출시가 가능할 전망인 만큼 차급을 고려할 때 직접 경쟁 상대는 폴스타2와 쌍용 코란도 이모션 등으로 제한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전기차 시장은 일부 프리미엄 브랜드 고가 차량을 제외하면 보조금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이라며 “시중에 선택지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차종보다 유리한 구매 조건을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고 최근 반도체 수급 문제 등에 따라 출고 지연을 겪는 차종은 계약 취소가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정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