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⑪경상남도 환경부문, A등급 5곳, B등급 9곳, C등급 4곳 
남해군, 탄소중립 선도하며 고른 고평가...‘남해 방문의 해’ 앞두고 그린뉴딜 박차 
‘탄소포인트 가입률’ 김해시 70% 넘기며 압도적...창녕군은 5% 미만
경상남도 기초단체 ESG 평가에서 남해군이 1위에 올랐다. 남해군청전경./남해군청 제공.
경상남도 기초단체 ESG 평가에서 남해군이 1위에 올랐다. 남해군청전경./남해군청 제공.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ESG행복경제연구소가 발표한 ‘기초자치단체 ESG 평가지수’에 따르면 경상남도 18개 기초단체의 환경부문 평균은 76.42점(100점 만점)으로 B등급 평가를 받았다.

시·군별로 남해군(87.53점), 산청군(85.40점), 하동군(83.80점), 의령군(82.00점), 합천군(80.10점) 순으로 A등급을 받으며 1~5위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B등급은 종합 1위인 창원시(79.40점)를 포함해 9개 시·군이 6~14위 자리에 안착했다. 반면 거창군(69.33점), 함안군(69.03점), 사천시(69.03점), 고성군(67.73점)은 C등급이다. 환경 1위 남해군과 최하위 고성군과의 점수 차는 무려 19.2.차다.

환경부문 평가에서 배점이 가장 높은 ‘탄소포인트 참여세대’ 비율은 김해시가 압도적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거제시, 창원시 순이나 창녕군은 5%에도 미치지 못해 가장 저조했다.

◆남해군 탄소중립 선도하며 1위...그린뉴딜 사업도 착착

장충남 남해군수가 친환경 광역방제기 미생물 살포 시연에 참석해 살펴보고 있다./남해군청 제공.
장충남 남해군수가 친환경 광역방제기 미생물 살포 시연에 참석해 살펴보고 있다./남해군청 제공.

남해군은 경남 환경부문 평가 1위다. 15개 평가 항목에서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0.90점의 가점이 보태졌다. 그중 만점 항목은 △환경정책 추진(13.33) △예산중 환경보호비 현액 비중(14.09%) △환경보호비 현액 지출 비중(87.03%) △폐기물 재활용(71.5톤) △폐수발생업소수(만명당 2.96개소) △폐수배출량(천명당 0.39㎥/일) 등 7개에 달한다. 여기에 △탄소포인트 참여세대 비율(23.82%) △환경중요성 인식도 △1인당 녹지면적(774㎢) 항목은 만점에 가까운 고득점을 얻었다. 

장충남 군수가 이끄는 남해군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도하고 있다. 그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지자체간의 정보공유와 협업체제 유지를 위해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에 가입했고 정부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전기자동차 및 수소차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남해군은 지난 4월에 경남도의원과 도내 환경·사회단체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준비 위원회를 구성했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조례 제정으로 민·관 협업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더욱더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남해군은 ‘2022년 남해방문의 해’에 대비해 그린뉴딜 사업 일환으로 주요관광도로인 해안도로변에 녹지공간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이외에도 그린뉴딜 사업과 연계해 장평소류지 벚나무숲 정비, 선소둑방길 녹지공간 정비(방호벽 도색), 단항 회전교차로 입면녹화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장충남 남해군수는 “탄소중립은 사회전반의 변화·실천 없이는 실현이 어려워 정책수립 과정에서 군민과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라며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에 대한 군민공감대 확산을 위해 정책 홍보와 군민과의 소통·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산청군, 도시숲·녹지공간 자랑...가축분뇨 자원화는 전국 최고

산청군이 경남 기초단체 ESG평가에서 환경부문 2위에 올랐다. 재난 취약시설을 둘러보고 있는 이재근 산청군수./산청군청 제공.
산청군이 경남 기초단체 ESG평가에서 환경부문 2위에 올랐다. 재난 취약시설을 둘러보고 있는 이재근 산청군수./산청군청 제공.

산청군은 환경부문 2위다. △환경정책 추진(16.13%) △예산중 환경보호비 현액 비중(10.64%) △총폐기물 발생(천명당, 1.05톤) △주민1인당 1일 생활폐기물 배출량(1.1kg) △폐수발생업소수(만명당 3.89개소) △폐수배출량(천명당 0.11㎥/일)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51.2% 2위) △친환경 농산물 출하현황(만명당 127만9518.3kg, 1위) △1인당 녹지면적(1109㎢) 등에서 만점을 △환경중요성 인식도에서는 고득점을 얻었다. 가점은 남해군과 같은 0.90점이다. 하지만 △탄소포인트 참여세대 비율(18.36%)이 저조한 점은 아쉽다. 

산청군은 도시숲·녹지공간 조성에 잘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경남도가 실시한 ‘2020년 도시숲·녹지공간 조성사업’ 평가에서 도내 1위에 오른 바 있다. 실제 산청군은 2018년부터 각 읍면의 자투리땅과 강변 둑방길 등 유휴지를 적극 발굴해 녹지공간을 조성해 왔다. 또 산청읍의 대표적인 교량인 경호교에는 약 20여년 전부터 한겨울을 제외하고 10개월 이상 꽃을 피우는 페츄니아를 설치해 주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0여년 간 1마을1쉼터 사업을 추진, 각 마을 주민들의 쉼터와 화합의 장소 역할을 하는 정자와 데크 등 편의시설을 조성해 오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추진한 녹색기금 공모 사업에 선정돼 황매산에 무장애 나눔길을 조성했다. 

특히 산청군은 가축분뇨 자원화 사업이 전국 최고 수준이다.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2021년 가축분뇨 자원화조직체 운영실태 점검’에서 함양산청축협 축분퇴비유통센터가 4년 연속 A등급에 선정되기도 했다. 가축분뇨의 자원화는 토양과 수질 등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산청군이 오래전부터 추진해 오고 있는 자연순환농업을 이끌고 있다.

◆하동군, 저탄소생활 국민실천 우수기관 타이틀...탄소포인트 참여율은 저조

3위는 하동군이다. 저탄소생활 확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정부평가가 나왔지만 평가항목 중 탄소포인트 참여세대는 21.66%에 불과했다. 이 부분만 따지면 경남 9위다. △환경정책 추진(15.15%) △예산중 환경보호비 현액 비중(11.56%) △총 폐기물 발생(천명당, 0.90톤) △주민1인당 1일 생활폐기물 배출량(0.9톤) 항목에서 만점을, 이어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44.9%) △친환경 농산물 출하현황(만명당 35만9750kg) △환경중요성 인식도에서는 고득점이다. 반면 △폐수배출량(천명당 166.43㎥/일, 2위) △상하수도보급율(상수도58.0%/하수도75.5%, 2019년)은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가점은 0.80점이다. 

하동군은 지난해 환경부가 주최한 ‘2020 저탄소생활 경연대회’ 저탄소생활 국민실천 부문에서 전국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이 경연대회는 온실가스 감축·기후변화 적응 대책에 대한 다양한 우수사례를 발굴·전파해 저탄소생활 확산을 유도코자 2008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지난해 평가에서는 저탄소생활 확산에 이바지한 기관·단체·학교·기업 등을 대상으로 저탄소생활의 적합성, 저탄소생활 확산 및 활용 가능성, 사례의 독창성, 추진활동의 효과성 등에 대해 심사를 거쳐 하동군을 수상자를 확정했다.

하동군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없는마을 조성과 탄소없는마을 벨트 구축, 하동군 쓰레기 없애기(Zero-Waste) 운동 전개, 친환경차 구매지원 및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지원 확대 등 다양한 저탄소생활 실천 시책을 펼치고 있다.

◆의령군·합천군 4·5위로 A등급 합류...종합평가 1위 창원시 B등급 이변

경상남도 기초단체 ESG 환경부문 평가 순위표./ESG행복경제연구소 제공.
경상남도 기초단체 ESG 환경부문 평가 순위표./ESG행복경제연구소 제공.

4위는 의령군이다. 만점 항목은 △총 폐기물 발생(천명당 1.00톤) △폐기물 재활용(84.9%) △주민1인당 1일 생활폐기물 배출량(1.0톤)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47.6%) △친환경 농산물 출하현황(만명당 78만5832.6kg, 2위) △1인당 녹지면적(964㎢) 등이다. △예산중 환경보호비 현액 비중(10.46%) △환경중요성 인식도에서는 고득점을 얻었다. 여기에 환경부문 수상 실적이 더해져 가점 0.50점을 얻었다. 

하지만 △상하수도보급율(상수도73.0%/하수도64.9%, 2019년)을 끌어 올려야하는 숙제와 △폐수발생업소수(만명당 17.35개소) △폐수배출량(천명당 105.00㎥/일)은 개선사항이다.

그럼에도 의령군은 환경부가 주관하는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 실태평가’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군은 1일 600톤 이상~2500톤 미만을 처리하는 Ⅲ그룹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5위는 합천군이다. △환경정책 추진(16.25 1위) △환경보호비 현액 지출비중(83.64, 4위)에서 만점을 △예산중 환경보호비 현액 비중(9.60%) △폐수발생업소수(만명당 10.89개소) △친환경 농산물 출하현황(만명당 53만5308kg)에서 고득점을 얻었다. 가점은 A등급 가운데 가장 높은 1.10점이다. 하지만 △탄소포인트 참여세대 비율(18.05%) △상하수도보급율(상수도53.5%/하수도67.1%, 2019년)은 높여야할 과제다.

합천군은 재해위험지역 정부사업에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 행정안전부 주관 ‘2020년 재해위험지역 정비사업 우수사례공모’ 심사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재해위험지구정비사업은 태풍·호우·폭풍 등 자연 현상에 의거 국민의 생명 또는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상습침수지역·산사태 등 붕괴위험지역·고립지역 등을 대상으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해 체계적인 정비·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자연재해를 예방·경감하는 사업이다.

종합1위 창원시는 환경부문에서는 B등급 6위로 체면을 구겼다. 만점은 △탄소포인트 참여세대 비율(35.09%, 3위) △상하수도보급율(상수도 98.6%/하수도96.6%, 2019년) 두 개 항목에 그쳤다. 여기에 △총폐기물 발생(천명당 1.17톤) △주민 1인당 1일 생활폐기물 배출량(1.2톤) △폐수발생업소수(만명당 8.91개소) △폐수배출량(천명당 37.00㎥/일)은 고득점이다. 특히 가점이 3.40점으로 가장 높았음에도 A등급에 오르지 못하는 이변을 보였다.

△환경정책 추진(6.76%) △예산중 환경보호비 현액 비중(5.51%, 15위) △환경보호비 현액 지출비중(73.02%, 14위) △친환경 농수산물 출하현황(만명당 2만3308kg) △1인당 녹지면적(350㎢)에서 저조한 평가가 나와 분발이 필요하다. 

◆거창군·함안군·사천시·고성군 쑥스러운 C등급...김해시, 탄소포인트 가입률 가장 높아

환경부문 하위권은 C등급을 받은 거창군, 함안군, 사천시, 고성군이다.

그럼에도 거창군은 △환경보호비 현액 지출 비중(94.37%)이 제일 높았다. △폐수발생업소수(만명당 11.37개소)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44.9%) △환경중요성 인식도에서 고득점을 얻었고 1.20점의 가점을 받았다.

함안군은 △예산중 환경보호비 현액비중(12.16%)이 전체 2위에 해당하는 성적을 받았고 사천시는 만점 항목은 없었지만 △환경정책 추진(12.00%)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45.4%) △상하수도 보급률(상수도96.6%/하수도96.9%, 2019년)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고성군은 전체 최하위다. 그럼에도 경남 기초단체 가운데 △총 폐기물 발생량(천명당 0.61톤)은 가장 적었고 △주민 1인당 1일 생활폐기물 배출량(0.6톤)도 가장 적었다. △친환경 농산물 출하현황(만명당 56만5081.5kg)도 고득점을 얻었다.

눈여겨볼 사항은 평가항목이 중 배점이 가장 높은 탄소포인트 참여세대 비율이다. 이 항목만 따로 보면 환경부문 순위권에 들지 못한 시·군들이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환경부문 9위인 김해시(73.16%)가 가장 높고 이어 7위인 거제시(37.98%), 6위 창원시(35.09), 8위 밀양시(30.70%)가 참여비율이 가장 높다. 반면 창녕군(4.70%)이 10% 이하의 가입률로 가장 낮고 이어 고성군(12.73%), 사천시(15.58%), 거창군(16.02%), 양산시(17.15%), 합천군(18.05%), 산청군(18.36%), 함양군(18.77%) 등이 20%의 낮은 가입률을 보였다.

양세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