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 노조, 10일 후속 투쟁지침 수립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한국GM은 6일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생산을 위해 예정되어 있던 부평 공장 투자 관련한 비용 집행을 보류하고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GM은 이러한 결정이 노동조합의 잔업 및 특근 거부와 부분파업 등 쟁의행위로 생산 손실을 입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쟁의행위로 7000대 이상의 추가적인 생산 손실을 입었고, 이번 추가 쟁의행위 결정으로 누적 생산손실이 1만2000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주장이다.
한국GM 측은 지난달 22일 19차 임단협 교섭에서 트레일블레이저를 생산하는 부평1공장에 약 2150억원(1억9000만달러)을 투자하겠다는 안을 제시한 바 있다. 사측은 당시 정확한 투입 시점이나 구체적인 모델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신차 생산을 위한 신규 투자를 약속했다.
하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지난달 30일과 이달 2일 이틀간 부분 파업을 진행한 데 이어 전날에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이달 6일·9일·10일 등 3일간 4시간씩 부분 파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지난달 23일 시작한 잔업과 특근 거부도 계속 이어가기로 했다.

노조는 이번 임단협에서 기본급 월 12만304원 인상, 통상임금의 400%에 600만원을 더한 성과급(평균 2000만원 이상) 지급과 부평2공장의 신차 생산 물량 배정 계획 등을 제시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지난달 29일 21차 단체 교섭에서 임금협상 주기를 1년에서 2년으로 변경하는 전제 아래 조합원 1인당 성과금 등으로 총 700만원을 지급하는 방안 등을 최종 제시했다. 트랙스와 말리부를 생산하는 부평2공장의 경우 이미 배정된 차량의 생산 일정을 연장하는데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그리는 가운데 노조의 파업에 사측이 강경 기조로 대응하면서 노사 갈등은 한층 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는 10일 오후 다시 쟁의대책위를 열고 후속 투쟁 지침을 정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GM의 2대 주주인 산은은 이날 입장 자료를 내고 "최근 불거지고 있는 부분파업 등 쟁의행위로 인한 생산 차질 발생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김호연 기자 hoyeon54@sporbiz.co.kr
관련기사
- 대한항공, 3분기 영업이익 76억원…전년 比 94%↓
- [美 대선] 자동차 업계 "트럼프발 관세 폭탄 우려, 그나마 바이든이 낫다"
- 쌍용차, 임영웅이 선택한 SUV ‘올 뉴 렉스턴’ 출시…3695만원부터
- "돈 더 못내겠다" 버티는 통신 3사, 주파수 두고 정부와 불화
- [이슈분석] 현대차 노조 챙긴 정의선 회장…계열사 '노사갈등' 영향은?
- 세계로 뻗는 K-바이오헬스...수출 활발
- 집콕 효과 제대로...가전 판매 호조 LG전자 3분기 '최대실적'
- [生生시승기]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디자인·퍼포먼스·연비 3박자 갖춰
- 자동차업계, 길어지는 임단협 갈등…생산손실 '심각'
- [이슈분석] ‘승승장구’ 쉐보레 콜로라도, 11월 누적 판매량 7위 비결은
- 한국GM 노사, 임단협 2번째 잠정합의…찬반투표 통과 ‘불투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