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은행권 총량규제 강화에 막판 대출 몰린다…주담대·신용대출 동반 급증
정기예금 금리 인상에 수신 10조 가까이 유입…요구불예금은 이탈
서울 아파트. (사진=한스경제DB)
서울 아파트. (사진=한스경제DB)

| 한스경제=이지영 기자 | 연말 대출 한파가 본격화되면서 자금 조달을 서두르는 수요가 은행권으로 빠르게 몰리고 있다. 시중 금리 상승과 코스피 조정의 영향으로 정기예금 역시 이달 들어 10조원 가까이 불어났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20일 기준 769조 273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 766조 6219억원에서 약 2조 6519억원 늘어난 것이다.

전세자금대출과 집단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11조 7523억원으로, 지난달 말보다 1조1062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 잔액도 104조 7330억원에서 106조 1173억원으로 1조3843억원 불어나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연말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한 은행권의 조치가 속속 이어지면서 신규 대출 창구는 빠르게 닫히는 분위기다. 국민은행은 주택구입 목적의 주담대를 이날부터 비대면으로, 24일부터는 대면 창구에서도 연내 실행분 접수를 중단한다. 타행 대환 목적의 가계대출 역시 주담대·전세대출·신용대출 모두 이날부터 막는다.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인 'KB스타 신용대출 1·2'의 신규 취급도 동시 중단됐다.

하나은행 또한 25일부터 올해 안에 실행되는 대면 주담대와 전세대출의 신규 접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다만 내년 실행 예정 건은 정상 접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고정·변동 모두 최근 상단이 6%를 넘어섰지만, 대출 중단을 앞둔 막판 수요가 오히려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신 시장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이달 들어 9조 8882억원 증가한 975조4,571억원을 기록했다. 시장금리 상승을 반영해 은행들이 연이어 수신 금리를 올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기적금 잔액은 46조 684억원으로 지난달 말 대비 3092억원 증가했다. 반면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은 지난달 말(647조 8564억원) 대비 2조 4959억원 감소한 645조 3605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지영 기자

키워드

#가계대출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