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밴플리트 정책 포럼서 기조연설...팩트시트 세부 항목 소개
”주요 산업 한국 투자 필요...정밀분야 관련 인력 입국 환영“
조지아 사태 관련 재발 방지 의지 피력...비자 제도 개편 언급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지난 9월 조현 외교부 장관과의 면담을 위해 정부서울청사 별관에 위치한 외교부를 방문하고 있다./연합뉴스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지난 9월 조현 외교부 장관과의 면담을 위해 정부서울청사 별관에 위치한 외교부를 방문하고 있다./연합뉴스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은 14일(현지시간) 한미 양국이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를 발표한 데 대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제조업 부흥' 정책과 관련해 한국은 절대적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언급했다.

랜도 부장관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애틀랜틱카운슬·코리아소사이어티가 공동 주최한 '밴플리트 정책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바로 어제 양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10월 말 한국 국빈방문과 관련해 역사적인 조인트 팩트시트를 발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미 양국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타결한 무역·안보 합의 결과가 담긴 조인트 팩트시트를 전날 발표했다.

랜도 부장관은 "여기(조인트 팩트시트)에는 향후 양국 관계의 공동 우선순위가 제시돼 있다"며 핵심 산업의 재건 및 확장, 외환시장 안정 유지, 상업 협력 강화, 상호주의적 무역 촉진, 경제 번영 보호, 한미동맹의 현대화, 한반도 및 역내 현안 공조, 해양 및 원자력 파트너십 강화 등 세부 항목을 소개했다.

그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제조업 부흥' 방침과 관련해 "이러한 노력에 있어서 한국은 절대적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조선, 에너지, 반도체, 의약품, 핵심광물, 인공지능(AI)·양자 기술 등 주요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런 투자가 실제로 작동하게 하고 정밀 제조시설을 운영하는 방법을 미국 노동자들에게 가르쳐줄 수 있는 한국 전문가들을 임시 비자로 미국에 보낼 수 있도록 한국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랜도 부장관은 지난 9월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미국 당국의 이민 단속으로 한국인 300명 이상이 체포·구금됐던 '조지아 사태'와 관련해 미국 정부의 재발 방지 의지를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매우 명확한 입장을 갖고 있다"며 "고정밀(high-precision) 분야 일자리에서 미국 노동자들을 훈련하기 위해 한국인들이 미국에 오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또 "분명한 것은 우리 경제에 큰 투자를 하라고 요청하면서 동시에 그 투자를 실제로 구현할 사람들을 미국에 보내지 말라고 할 수는 없다"고 부연했다.

이어 "주한미국대사관에 '한국 투자·통상 데스크'를 신설하고 비자 제도를 개편해 미국의 이민법에 부합하도록 한국 전문가들이 미국에 와서 이런 일자리에 대해 미국 노동자들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새 비자 카테고리를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조선 분야는 우리 국가 안보에 핵심적인 산업으로 조선 사업을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 한국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장기적 동맹은 '양방향'이어야 하며 서로가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도 했다.

랜도 부장관은 한미동맹과 관련해 "한미동맹과 우리의 확장 억제 의지는 철통같다"면서 "한국과의 전통적 안보 동맹을 경제적·산업적으로 통합된 더욱 포괄적인 파트너십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런 새로운 장으로 나아가면서도 한미동맹의 근간은 어느 때보다 견고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전했다.

임준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