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 품질관리 체계 선순환 모델 구축할 것”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4일 국방기술품질원(기품원)과 공동으로 ‘회전익항공기 결함 예측 AI 모델 개발 발표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KAI 본사 회전익동에서 열린 이날 발표회에는 기품원 장인기 항공센터장, KAI 김형수 품질보증실장, 이정우 품질경영실장과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약 5개월 간의 연구기간 동안 KAI와 기품원은 항공기 생산품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결함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심층적인 상호 검증을 통해 정합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이번 발표회는 AI 기반 품질결함 예측 기술 개발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양산 항공기 적용과 이를 통해 얻어지는 품질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논의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자리였다.
KAI와 기품원의 이번 공동 연구는 항공 분야 전 주기 품질 데이터를 순환하고 데이터 전처리, 분석 및 시각화 과정을 거쳐 품질 수준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를 성공적으로 도출했다.
이 AI 모델은 전수검사 형태로 수행되던 기존 품질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품질 데이터를 학습해 결함 여부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품질관리 효율성과 항공기 가동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 서로 다른 연구개발 사업 간의 품질 수준 평가 방안을 수립해 항공 무기체계별 품질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 할 수 있다.
KAI 관계자는 “이번 연구에서 현장 품질 데이터를 AI 기술에 접목해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기품원 관계자 역시 “AI 기술이 현장에서 점진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KAI와 기품원은 AI 예측 기술을 단계적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향후 다양한 무기체계와 품목으로 적용 영역을 넓혀 민·관 협력 품질관리 체계의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임준혁 기자 atm1405@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