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창립 이래 역대 최대 분기 매출
삼성바이오에피스 매출액 4410억원·영업이익 1290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 제4공장 전경./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삼성바이오로직스 제4공장 전경./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림)가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9.8% 증가한 1조 6602억원으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2% 증가한 7288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1조 2575억원이며 영업이익은 6334억원으로,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7.8%, 42.5%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공장의 풀 가동을 통한 매출 기여 증대와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창립 이래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3분기 매출은 4410억원, 영업이익은 1290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3.5%, 90%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 중심 경영을 바탕으로 뚜렷한 수주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공시기준 누적 수주 금액은 5조2435억원으로, 10개월 만에 전년도 연간 수주 금액(5조4035억원)에 육박했다. 위탁개발(CDO) 사업도 3분기 글로벌 제약사를 포함한 8건의 신규 계약을 확보했다. 창립 이래 누적 수주는 CMO 105건, CDO 154건으로 누적 수주 총액도 200억달러를 돌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글로벌 톱20 제약사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최근 일본 톱10 제약·바이오 기업 중 4곳과 계약을 체결하고 1곳과 최종 협의 중으로 글로벌 톱40위권 제약사 대상 수주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생산능력 초격차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4월 자동화·디지털화를 통해 운영 효율을 끌어올린 18만ℓ 규모의 5공장이 가동을 시작하며 총 생산능력을 78만4000ℓ까지 늘렸다. 2032년까지 제2바이오캠퍼스에 3개 공장을 추가 건설해 총 132만4000ℓ까지 생산능력을 증강할 계획이다.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한 투자도 지속하고 있다. 임상시험수탁(CRO) 분야 진출을 위해 '삼성 오가노이드(Samsung Organoids)' 서비스를 선보였다. 제품 모달리티 다각화를 위한 항체·약물접합체(ADC), 다중항체,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등 첨단 바이오 기술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공급망 관리와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를 꾸준히 확대하며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상반기 미국 시장에 출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SB17)는 대형 사보험사가 자사 브랜드로 의약품을 유통하는 자체 상표(Private Label) 계약 2건을 체결했으며, 3분기에 제품 공급을 시작하며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해로우와 안과질환 치료제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SB11),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SB15)에 대한 미국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기존에 바이오젠이 보유하고 있던 판권 계약이 종료됨에 따른 신규 계약으로서, 연내 판권 이전 절차를 거쳐 해로우를 통해 미국 안과질환 치료제 판매를 지속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국내에서도 지난 7월과 8월 골질환 치료제 프롤리아·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SB16)를 각각 출시하며, 국내 상용화 제품을 총 11종으로 늘리는 등 다양한 질환 분야를 대상으로 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이소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