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차세대 공중급유기 A330 MRTT+ 제안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에어버스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일 항공우주 분야 전반에서 한국 내 산업 협력을 강화하고 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ADEX 2025 전시회에서 공식 서명됐으며 양사의 오랜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하고 방위, 우주, 헬리콥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 방안을 구체화했다.
아난드 스탠리 에어버스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 대표는 “이번 포괄적 프레임워크 MOU를 통해 KAI와의 관계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한국은 에어버스의 핵심 전략 파트너로 이번 협약은 혁신과 지속가능성, 그리고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의 성장을 위한 양사의 공동 의지를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프레임워크 MOU에 따라 에어버스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는 KAI와 협력해 군 위성통신 역량 강화에 나선다. 여기에는 기존 아나시스 2호(ANASIS-II) 프로그램의 유로스타 3000(Eurostar 3000) 플랫폼을 통한 지속적인 지원뿐 아니라 차세대 아나시스 3호(ANASIS-III) 프로그램에서 최첨단 유로스타 네오(Eurostar NEO) 시스템을 활용하는 협력이 포함된다.
군용 임무기(Air Power) 분야에서 에어버스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와 KAI는 A330 MRTT 공중급유기 프로그램과 관련 다양한 절충교역(Offset)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에어버스는 한국 공군의 작전 요구에 부합하는 차세대 진화형 모델 A330 MRTT+를 제안할 준비가 돼 있으며 이를 통해 항속거리 연장, 자동 급유 능력 향상, 운용 효율성 강화가 가능하다. 양사는 또한 미래 공중전력 역량의 공동 개발 기회도 함께 모색할 계획이다.
헬리콥터 분야에서는 양사가 공동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고속 중형기동헬기 개발 협력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에어버스 헬리콥터스(Airbus Helicopters)는 레이서(Racer) 실증기에 적용된 복합형(Compound) 회전익 항공기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기동헬기 개발 역량을 한층 고도화할 예정이다.
에어버스와 KAI는 양사의 기술적 관심사에 부합하는 연구 및 기술(R&T) 프로젝트 식별 및 협력을 논의했다. 이번 MOU는 향후 절충교역 의무 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 협력 프로젝트 발굴 및 실행의 기반을 마련하며 KF-21 및 FA-50 항공기의 피급유기 인증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도 포함한다. 이는 에어버스의 절충교역 이행과 KAI의 수출 경쟁력 제고에 모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어버스 관계자는 “이번 포괄적 MOU는 대한민국 항공우주 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라는 국가 전략 목표에 부합하며 에어버스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장기적 파트너십 강화에 지속적으로 헌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임준혁 기자 atm1405@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