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중앙손상관리센터, 청소년 대상 교육 실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중앙손상관리센터가 청소년 대상 의약품 오남용 중독예방 교육을 실시했다./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제공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중앙손상관리센터가 청소년 대상 의약품 오남용 중독예방 교육을 실시했다./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제공

|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 질병관리청이 주관하고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운영하는 중앙손상관리센터(센터장 이성우)가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교장 송창범) 2학년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내 몸을 위한 건강한 선택’이라는 주제로 찾아가는 청소년 의약품 오남용 예방교육을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의 2023년 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10대 청소년의 중독 사례 중 약 80.5%가 치료약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 중독 비율은 83.4%, 여학생 비율은 73.9%로, 다른 연령대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청소년 대상의 체계적 예방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번 교육은 의약품 오남용의 위험성과 중독 후유증의 심각성을 전달하는 데에 중점을 뒀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복용량을 스스로 계산하고, 위급 상황 시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자기결정력을 강화하는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실제 응급실 내원 사례와 통계를 통해 중독의 심각성과 현실성을 강조하고,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약품을 기준으로 체중별 적정 복용량을 계산해보는 실습도 함께 진행됐다.

이번 교육을 직접 진행한 한갑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의약품 오·남용은 단순한 건강 문제가 아니라, 청소년 스스로의 판단력과 책임감이 직접 연결되는 중요한 문제"라며 "이번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몸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자기결정력을 기르고, 더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교육에 참여한 교사는 “요즘 학생들 사이에서 진통제 계열의 일반의약품을 스트레스 해소 수단처럼 가볍게 여기는 분위기가 있어 우려됐다"며 "이런 교육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면, 학생들이 자기결정력과 건강한 선택 능력을 더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손상관리센터 관계자는 "학교 현장과 관련 기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손상예방교육과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라며 "단순한 전달 중심 교육을 넘어, 청소년이 실제 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지식과 실천력을 기를 수 있는 국민 체감형 예방교육 모델을 구축하고, 학교 보건과 지역사회 안전망과의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교육 효과를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