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하태민 기자 | 여수MBC 순천 이전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정기명 여수시장은 29일 "밀약과 거래에 의한 특혜성 권언유착"이라며 "여수MBC 여수 존치를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정 시장은 이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여수시민 분노가 아직도 거센 상황에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수MBC와 순천시가 극비리에 투자협약을 추진한 것은 의심받기에 충분하다"며 협약 전면 중단을 요구했다.
그는 "사명까지 '전남동부권MBC'도 아닌 '순천MBC'로 바꾼다는 소식은 충격적"이라며 "지난 반세기 여수와 함께해온 역사가 그렇게도 하찮았는지 개탄스럽다"고 성통했다.
이어 "여수MBC는 단순한 민간기업이 아니라 공공재이자 공영방송"이라며 "사기업임을 내세워 공공성보다 주주 이익을 앞세우는 것은 곧 '공공재의 사유화'이며 이는 방송 권력을 돈벌이 수단으로 활용하는 위법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순천시에 대해서도 "지자체 간 경쟁은 환영하지만 거래나 담합이 아닌 공정한 절차와 상생의 틀 안에서 진행돼야 한다"며 "현재 상황은 여수시민 상처를 외면하고 지역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정 시장은 "여수MBC 여수 존치는 절대적 입장"이라며 "범시민대책위원회와 정치권 등과 연대해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여수MBC순천이전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도 이날 긴급 성명을 통해 협약을 강하게 규탄하고 나섰다. 대책위는 "이번 투자협약은 밀실 담합과 특혜의 산물로 지역사회를 기만한 폭거"라며 "이는 여수시민 자긍심을 짓밟는 역사적 배신"이라고 맹비난했다.
이들은 △여수시민 배제 및 절차적 정당성 상실 △공영방송 공적 책임 훼손 △언론 독립성 침해 △지역 상생 파괴 등을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특히 "순천시청 건물에 입주해 임대료를 내는 방송사가 순천시를 감시·비판할 수 있겠느냐"며 "이는 언론 편집권 독립의 자살행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순천시는 언론 유치를 '언론 중심도시 도약'이라 포장하지만 이는 여수의 상실감과 지역갈등을 외면한 무책임한 처사"라며 "상생을 강조하면서 뒤로는 협약을 강행한 이중적 행태"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이번 사태를 여수시민에 대한 선전포고로 규정하고 △투자협약 파기 및 원상복구 △여수MBC 사과와 존치 방안 마련 △순천시 유치 시도 중단 등을 강력 촉구했다.
대책위는 "여수MBC 순천 이전 저지를 위해 법적·행정적 대응은 물론 시민 불복종 투쟁도 불사하겠다"며 "공영방송이 여수에 남아 지역 목소리를 대변하고 시민과 함께할 수 있도록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하태민 기자 hamong@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