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日 이어 EU도 15% 관세 혜택…한국만 25% 적용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사진/현대차그룹, 연합뉴스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사진/현대차그룹, 연합뉴스

| 한스경제=이지영 기자 |  미국이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과도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하면서 한국 자동차 업계가 역차별 위기에 직면했다. 일각에서는 현대차그룹이 미국 시장에서 강점으로 삼아온 가격 경쟁력이 흔들리며, 일본·유럽 브랜드에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유럽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7.5%에서 15%로 인하하는 조정안을 확정했다. 일본산 자동차 관세도 지난 16일부터 15%로 낮췄으나 한국은 후속 관세 협상에서 난항을 겪으며 여전히 25%의 고율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그동안 한국 자동차 업계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픽업트럭을 제외한 모든 차종을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해 왔다. 일본·유럽 업체들이 기본 관세인 2.5% 기본 관세를 물어온 것과 비교하면 가격 경쟁력이 뚜렷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상황은 정반대로 뒤집히며 한국차가 오히려 더 비싸질 수 있는 처지에 놓였다.

현대차의 미국 베스트셀링 모델 투싼은 최소 판매가가 2만 9200달러(약 4121만원)로, 독일 폭스바겐 티구안(3만 245달러·4268만원), 일본 도요타 라브4(2만 9800달러·4205만원), 혼다 CR-V(3만 920달러·4364만원)보다 1000달러 이상 가격이 저렴하다.

다만 25% 관세를 반영하면 투싼 가격은 3만 6500달러로 올라, 관세 15%가 적용된 경쟁 모델인 티구안(3만 4782달러), 라브4(3만 4270달러), CR-V(3만 5558달러)보다 모두 비싸진다.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에서도 사정은 같다. 현대차그룹의 SUV 아이오닉5는 기본 가격이 4만 2600달러로 비슷한 급의 폭스바겐 ID.4(4만 595달러) 대비 낮은 가격으로 가격 경쟁력이 우위가 있었다. 다만 관세 격차 반영 시 아이오닉5와 폭스바겐 ID.4의 기본가격은 각각 5만 3250달러, 5만 1859달러로 가격이 역전된다.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도 미국 내 프리미엄 브랜드 시장에서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와의 경쟁에서 관세 차별이 뚜렷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공식적으로 관세 부과가 곧바로 미국 내 차량 판매가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는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IBK투자증권은 "현 수준의 25% 관세가 유지되면 현대차·기아는 매달 약 7000억원의 관세 부담을 지게 된다"며 "가격 경쟁력을 갖추던 현대차·기아가 다양한 가격 전략을 구사한느 데 불리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지영 기자

키워드

#관세 #트럼프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