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입원환자 334만명↓…내과 최다 감소
의료대란의 여파로 지난해 상급종합병원들이 1조원이 넘는 의료이익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스경제 DB
의료대란의 여파로 지난해 상급종합병원들이 1조원이 넘는 의료이익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스경제 DB

|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 의료대란의 여파로 지난해 상급종합병원들이 1조원이 넘는 의료이익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상급종합병원 47곳의 회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료대란 여파로 지난 2024년 상급종합병원 47곳의 의료이익 적자가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의료이익은 병원의 본질적 활동인 진료행위에서 발생한 순이익으로 의료수익(입원수익, 외래수익 등 진료로 벌어들인 수입)에서 의료비용(인건비, 약제비, 진료 관련 경비 등)을 뺀 금액을 의미한다. 

지난 2023년 상급종합병원의 의료이익 적자는 약 310억원 수준이었으나 2024년에는 적자가 1조원을 넘어서며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같은 기간 의료수입은 27조 2340억원에서 25조 610 원으로 약 2조 2000억원 가까이 줄었다.

특히 입원수익이 1조 8000억원 감소하며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이러한 여파로 2024년 전체 당기순손실은 5000억원에 달했다.

실제로 입원환자 감소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립대병원과 빅5 병원 다수가 입원환자 감소 상위권에 포함됐다. 충북대병원이 전년 대비 36.8%(-8만 3000여명)감소하며 감소율이 가장 컸고 서울대병원(-32.8%, -18만명), 연대 세브란스(-32.6%, -25만명), 서울아산병원(–32.6%, -30만명) 순이었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재활의학과의 감소율이 53.7%(-24만명)로 가장 컸고, 이어 정신과(-46.6%, -12만명), 정형외과(-44.5%, -45만명) 순 이었다. 특히 내과에서는 127만명(-22.1%)이 줄어 절대 규모로는 가장 많이 감소했다.

김윤 의원은 “의료대란의 피해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환자의 치료 기회 상실과 생명 위협으로 직결됐다”며 “특히 의료전달체계의 중추 역할을 하는 국립대병원과 빅5 병원, 그리고 내과·외과 등 필수 진료과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의료체계 전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료대란으로 환자와 병원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 객관적 자료로 확인됐다”며 “의료현장이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국회, 정부와 의료계 등 모든 주체가 책임 있게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