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계열사 임직원 포함 20명 ‘AAC 의사소통판’ 제작 참여
직접 만든 AAC 의사소통판 푸르메어린이발달재활센터 전달
고려아연과 계열사 서린정보기술, 케이지트레이딩 임직원들이 언어장애 아동 재활치료용 교구 'AAC 의사소통판'을 제작하고 있다./고려아연
고려아연과 계열사 서린정보기술, 케이지트레이딩 임직원들이 언어장애 아동 재활치료용 교구 'AAC 의사소통판'을 제작하고 있다./고려아연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고려아연은 자사와 계열사 임직원들이 언어장애 아동 재활치료 교구인 ‘AAC 의사소통판’을 제작하는 봉사활동에 참여했다고 15일 밝혔다.

AAC(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란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를 뜻하는 용어로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보완적이거나 대체적인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AAC 의사소통판에는 이해하기 쉬운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100여개의 그림 카드가 부착돼 있다.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고려아연 본사 다목적실에서 진행된 ‘고려아연과 계열사 임직원이 함께하는 AAC 의사소통판 제작활동’에는 고려아연과 계열사인 서린정보기술, 케이지트레이딩 임직원, 푸르메재단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여해 2인 1조로 AAC 의사소통판을 제작했다.

이날 봉사에 참여한 임직원들은 우선 바인더에 벨크로를 부착하고 링을 끼워 소통판을 제작했다. 이어 A4용지에 있는 그림 100여개를 직접 오리고 코팅한 뒤벨크로를 접착해 최종적으로 소통판에 부착했다.

봉사 참여자들이 2시간 이상 몰입해 제작한 AAC 의사소통판은 푸르메재단 산하 푸르메어린이발달재활센터에 전달될 예정이다. 푸르메어린이발달재활센터는 전달받은 AAC 의사소통판을 언어장애 아동 재활치료에 활용할 계획이다.

앞서 고려아연은 지난해 5월 5000만원의 기부금 전달을 시작으로 푸르메재단과 연을 맺었다. 이와 함께 임직원들이 푸르메재단과 함께하는 봉사활동에 2회 참여했다. 올해도 이번 AAC 의사소통판 제작 봉사활동에 이어 다음달 푸르메 소셜팜 일손돕기 봉사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여주시에 위치한 푸르메 소셜팜은 발달장애인들이 경제적 자립을 위해 근무하는 방울토마토 스마트팜이다.

김기준 고려아연 부사장은 “당사와 계열사 임직원들이 정성껏 만든 AAC 의사소통판이 언어장애 아동들의 재활치료에 작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어 감사한 마음”이라며 “앞으로도 고려아연은 장애인뿐 아니라 우리 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적극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려아연은 KZ Clover라는 사회공헌 전략하에 ▲기부봉사 ▲인재육성 ▲문화예술 ▲친환경 등 4개 분야에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매년 영업이익의 약 1%인 70억원 상당을 사회에 환원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임준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