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입찰 마감 앞두고 일정·구도 대의원회 결정에 달려
| 한스경제=한나연 기자 |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진행되는 최대 규모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가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삐걱거리고 있다. 조합이 내건 까다로운 입찰 지침에 일부 대형 건설사들이 발을 빼면서, 기대했던 ‘대어급 수주전’이 반쪽 경쟁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오는 4일 열리는 조합 대의원회가 향후 판세를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열린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이하 성수1지구) 현장설명회에는 GS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호반건설, 금호건설, BS한양 등 7개사가 참석했다. 그러나 당초 참여 의사를 밝혔던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불참했다. 현대건설의 경우 수개월 전부터 성수1지구 전담 조직을 꾸린 데다, 글로벌 설계사 등과 손잡고 외관·구조·조경·인테리어 등 설계를 진행해온 만큼 업계의 이목이 쏠렸던 후보였다.
현대건설은 조합이 제시한 현행 지침을 준수해 입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사업 조건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조합원 발의로 예정된 9월4일 대의원회에서 조합원 의견이 반영된 입찰지침이 결의돼 경쟁입찰에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HDC현산 역시 수차례 공문을 통해 지침 완화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불참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이 제시한 입찰 지침에는 ▲조합원 로열층 우선 배정 금지 ▲금융 조건 제한 ▲조합원 분양가 할인 제시 금지 ▲천재지변과 전쟁 등을 제외한 책임준공 확약 등의 조항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입찰보증금 1000억원도 전액 현금 납부해야한다. 조합원 이익을 지키기 위한 취지라는 설명이다.
문제는 해당 지침과 관련해 건설사뿐 아니라 조합 내부에서도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조합원들은 “사실상 특정 건설사에 유리한 수의계약용 지침 아니냐”는 의견을 드러내며 대의원회 소집을 요구했다. 특히 지침이 공정경쟁을 무력화한다면 장기적으로 조합원 이익에도 손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합은 오는 4일 대의원회를 열고 입찰 지침 재논의를 공식화했다.
정비업계는 이번 대의원회를 성수1지구 사업의 분수령으로 본다. 만약 지침이 수정·가결된다면, 이미 예정된 일정에도 변화가 불가피하다. 현재 조합은 10월13일을 입찰 마감일로 잡아두고 있지만, 대의원회에서 지침이 변경될 경우 입찰 관련 전체 일정이 재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지침이 수정된다면 현대건설과 HDC현산도 참여 의사를 공식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그렇게 되면 경쟁입찰의 취지가 살아나 조합원들에게도 유리한 조건이 제시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지침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일부 건설사가 불참해 ‘2파전’ 혹은 단독 응찰로 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성수1지구는 지하 4층~지상 69층, 17개 동, 3014가구 규모로 탈바꿈한다. 서울숲과 압구정 일대에 인접해 입지가 뛰어나고, 일반분양 물량 비율이 높아 사업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총 4개 지구로 구성된 성수전략정비구역 가운데 사업 속도도 가장 빠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성수1지구를 따내는 건 한강변 랜드마크 입지를 추가로 확보하는 것”이라며 수주전의 상징적 의미를 강조한다.
특히 GS건설은 성수1지구에 오랜 기간 공을 들여온 대표 주자다. 현대건설과 HDC현산도 글로벌 설계사·엔지니어링 그룹과 협업, 디벨로퍼 전략 등을 구상하는 등 차별화된 전략을 공개해왔다. 이에 업계에서는 지침이 완화된다면 3파전 구도가 현실화돼 치열한 수주전이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나연 기자 nayeon@sporbiz.co.kr



